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촉탁직 돌봄노동자 부당해고 구제 신청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촉탁직 돌봄노동자 부당해고 구제 신청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뉴스클레임]

서울시의 공공돌봄을 책임졌던 고령·비정규직 돌봄노동자들이 부당하게 일터 밖으로 밀려났다고 주장하며 부당해고 구제신청에 나섰다.

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촉탁직 돌봄노동자 부당해고 구제 신청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촉탁직 돌봄노동자 부당해고 구제 신청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공공운수노조 서울시사회서비스원지부, 서비스연맹 전국돌봄서비스노조 서울지부는 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은 우리를 일터로 돌려보내라"고 촉구했다.

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촉탁직 돌봄노동자 부당해고 구제 신청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촉탁직 돌봄노동자 부당해고 구제 신청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이들 단체는 "촉탁직 채용공고라는 한줄기 희망을 부여잡았지만 7월로 우리는 모두 일터로 쫓겨나게 됐다. 서울시민과 서울시의 공공돌봄을 위해 코로나위험도 감수하고 일했지만 결국 일터 밖에서 부당해고 구제신청에 나서게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의 부당해고 구제신청은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의 예산삭감으로 운영에 심각한 타격을 준 서울시와 서울시의회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말했다.

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촉탁직 돌봄노동자 부당해고 구제 신청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4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촉탁직 돌봄노동자 부당해고 구제 신청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이들은 "돌봄노동자가 없다면 공적돌봄을 할 수 없다. 돌봄노동자 없는 공적돌봄은 말이 안되는 이야기다. 우리는 일터로 돌아가기 위해 할 수 있는 것들을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