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연대본부, 11일부터 파업 투쟁 돌입
보건의료노조 "정부는 노동자의 정당한 요구에 답해야"

[뉴스클레임]
보건의료노조가 오는 11일부터 파업 투쟁에 돌입하는 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의료연대본부(이하 의료연대본부)를 지지하고 나섰다.
보건의료노조는 10일 성명을 내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투쟁하는 의료연대본부의 파업을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다.
앞서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와 경북대병원분회, 건강보험노조, 부산지하철노조 등은 11일부터 민영화 중단을 촉구하는 2차 공동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의료연대본부의 요구안은 ▲보건의료인력기준 마련 ▲근무조별 간호사 대 환자수 1:3(통합병동) 1:6(일반병동) ▲간병 걱정 없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전면 확대 ▲공공병상 확충! 병상 총량제로 의료불균형 해소 ▲국민 생명 지키는 필수의료분야 의사 수 확충 ▲의료질 떨어뜨리는 비대면진료 중단 ▲의료정보 팔아 넘기는 실손보험청구간소화 중단 ▲돌봄노동자 필수인력 충원 및 월급제 시행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 폐기 및 직무성과급제 도입 저지 ▲간병노동자 산재보험 적용 등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윤석열 정부는 건강보험 보장성 축소, 울산의료원 예비 타당성 조사 탈락 등 공공의료를 후퇴시켰다. 환자 정보를 민간보험사에 팔아먹는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법과 수가를 30%나 가산하며 비대면 진료를 추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정부는 부서간·직종간 협업해야 할 병원마저 직무성과급제 도입을 통해 경쟁과 갈등, 돈벌이 병원으로 내몰려고 한다. 노동자의 안전이 환자의 안전과 직결됨에도 불안정한 비정규직 일자리를 확대하고 있으며, 만성적인 인력부족은 환자를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공공의료, 국민의 건강권을 지키기 위한 의료연대본부의 투쟁을 적극 지지한다"며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병원·돌봄노동자들에게‘희생과 헌신’만을 요구하던 정부는 이제 필수인력 충원, 의료공공성 확대, 직무성과급제 도입 중단, 좋은 돌봄을 위한 제도 마련 등 노동자의 정당한 요구에 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