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 "공공병원 대한 정부의 회복기 지원 확대 촉구"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개최된 '감염병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 기간 및 규모 확대 촉구 기자회견'. 사진=보건의료노조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개최된 '감염병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 기간 및 규모 확대 촉구 기자회견'. 사진=보건의료노조

[뉴스클레임]

보건의료노조가 공공병원에 대한 정부의 회복기 지원 확대를 촉구하고 나섰다.

보건의료노조는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의료 강화, 공공병원의 공익적 비용 및 회복기 지원 확대 ▲공공병원 회복비 지원에 필요한 필요예산을 2024년 정부 예산에 반영 ▲공공의료 기능 강화 위한 의료진 확충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코로나19 위기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켜낸 감염병 전담병원이 1년이 넘도록 운영 상황이 회복되지 않아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감염병 전담병원을 이대로 방치한다면 다른 감염병 위기가 닥쳤을 때 우리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의료체계는 붕괴한다"고 우려했다.

무엇보다 공공병원에 대한 손실과 회복까지의 보상은 당연히 국가가 책임져야 하는 문제라며 정부에 9·2노정합의를 적극 이행할 것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시급하게 회복 지원금 추가 지원도 이뤄져야 한다. 정부가 예상한 회복 기간인 6개월은 현실과의 괴리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공공병원, 지방의료원이 올해 11월 또는 12월 임금체불이 발생할 우려조차 되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지방의료원 재정 악화에 따른 공공의료사업 축소 및 향후 발전 가능한 신종감염병 등 의료재난 사태에 소극적 대응이 이뤄지지 않도록, 적어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필요한 회복기 지원을 전면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공공병원의 의사 부족 문제 해결, 간호인력 부족 문제 해결 등을 해결해 양질의 의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공공병원에 대한 정책적 지원 또한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공공병원을 통해 지역 필수 의료기관의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지역 책임의료기관을 더욱 육성하는 한편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