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사고 통합 심리지원단’ 출범 후 유가족, 생존자, 목격자 심리지원 7108건
용혜인 "지속적인 피해 지원 위해 이태원참사 특별법 제정 필수"

[뉴스클레임]
10·29 이태원 참사 발생 이후 최근까지 유가족, 생존자 등이 트라우마를 호소하며 보건복지부 이태원 사고 통합심리지원단 지원을 받는 건수는 7000여건으로 확인됐다.
2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실이 국가트라우마센터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태원 사고 통합심리지원단’이 출범한 지난해 10월 30일부터 지난달 30일까지 1년간 이태원 참가 유가족과 생존자 목격자 등을 대상으로 한 심리지원이 총 7108건 이뤄졌다.
심리지원 실적으로 참사 직후인 지난해 11월 가장 많은 4283건을 기록했다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11월 4283건, 12월 1046건 진행됐던 심리 지원은 올해 들어 급감했다. 올해 1월 675건 진행됐다가 2월~6월에는 매월 100~200여건이 진행됐다. 지난 7월 73건으로 처음으로 100건 아래로 떨어졌다. 8월 55건, 지난달에는 73건이 이뤄졌다.
대상자별로는 일반 국민이 2046건으로 가장 많다. 이어 유가족 1868건, 목격자 1818건, 부상자 1034건, 대응 인련 196건, 부상자 가족 156건 순으로 나타났다.
다른 유형에 비해 유가족의 경우 현재까지도 심리 지원이 수십건 씩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1인당 심리지원 평균 횟수는 유가족 3.2회, 부상자 2.3회, 부상자 가족 2.5회, 목격자 1.8회, 대응인력 1.5회, 일반국민 1.3회로 대다수의 상담자가 1회 이상의 심리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가 추진했던 통합 심리지원단 이외에도 행정안전부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심리 지원을 제공하는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를 운영하고, 교육부는 학생 대상 심리지원을 진행했다.
행정안전부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는 올해 9월까지 상담 총 1330건을 진행했다. 행정안전부 상담은 지난해 11월 511건을 기록했다가 그해 12월 82건으로 감소한 뒤, 지난달까지 10건 안팎으로 집계됐다. 교육부 윤영 심리상담소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4월까지 총 2642건이 진행됐다. 교육부 상담은 4월에 마무리됐다.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지 1년이 지난 지금, 이태원 참사 유가족 및 피해자에 대한 지속적인 심리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심리지원을 꺼리거나 받기 어려워하는 사람들의 심리 지원 사각지대를 메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 특히 트라우마센터 발길이 줄어든 이유 중 하나는 정부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다. 상담 정보가 국가에 알려지는 것 자체를 꺼리는 움직임도 있다고 한다.
용혜인 의원은 “대형 재난을 겪은 피해자들의 트라우마는 단기간 심지 리원으로 회복되는 것이 아니다. 지속적으로 피해자 권리에 기반한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피해자 회복을 위해서는 피해자와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진상규명이 필수적이다. 그러한 취지에서 진상규명과 피해자 지원의 내용을 담은 이태원 특별법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 이선균 방문 룸살롱, BTS도 단골?… BTS 팬덤 "무분별한 허위사실과 명예훼손"
- [클레임톡] 일본의 희한한 ‘조선 여성 통계’
- 지난해 대선·지선 관련 공무원 선거법 위반 '80건'
- 뉴욕서도, 유럽에서도 맛보는 K-베이커리… 무서운 성장세
- [클레임 만평] 10월 26일자
- 국민건강보험센터지부 11월 1일 총파업 "해고 없는 소속기관 전환 쟁취"
- [실적] 현대자동차 3분기 영업이익 3.8조원
- 1년 전 이태원 골목, 그 길에 새겨진 '기억과 안전'
- [실적] LG생활건강, 3분기 매출 1조7462억원
- [실적] 제이브이엠, 3분기 누적매출 1132억원
- 박선주 이어 김채원·전소연도 펄쩍… 난데없는 '마약 루머'에 女스타들 피해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