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1주기…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서 열린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 기자회견
26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서 열린 ‘10.29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 기자회견

[뉴스클레임]

지난 2022년 10월 29일 159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에 '기억과 안전의 길'이 조성됐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 이태원 지역주민, 시민대책회의가 이태원역 1번 출구가 참사 현장이라는 슬픔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억과 안전의 공간으로 거듭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같이 하면서 이 길이 조성됐다.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는 이태원 참사 1주기를 맞아 26일 오전 이태원역 1번 출구 참사 현장에서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에는 길의 시작을 알리는 표지목과 참사의 의미를 담아 바닥에 새겨진 문구와, 사진작가 황예지의 작품, 이태원역 1번 출구에 시민들이 남긴 포스트 잇, 이태원 참사를 설명하는 3개의 빌보드로 구성돼 있다. 빌보드의 사진 작품과 시민 포스트잇은 2달에 한번 교체 될 예정이다.

유가족협의회 등은 "이 길은 이태원역 1번 출구가 참사의 현장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억, 애도하고 진실을 찾는 공간으로서 의미를 담고 있다"면서 "이태원 참사 특별법이 제정되고 책임있는 사람들이 사과하고, 재발방지를 위해 노력할 때 비로소 안전한 길로 거듭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권은비 미술가는 "기억과 안전의 길이 이태원 참사 이후 1년만에 조성됐다"며 "이태원 참사는 한국사회의 현실을 보여주는 거울과 같은 참사다. 결국 다시는 이러한 참사가 벌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이 거울앞에 비춰진 우리 스스로에게 달려있다는 메세지를 담고 싶었다"고 전했다.

그는 "‘기억한다’라는 것은 결국 기억하고 있다는 상태를 실천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다양한 사람들의 기억의 메세지를 이곳에 앞으로 담아보려한다"며 "참사 이후 이곳에 오기를 주저하고 있는 사람들이 여기에 앞으로 많이 와주시고, 이곳에서 희생자들을 기억해 주셨으면 한다. 무엇보다 이태원 참사가 우리 사회에 남겨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