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서울교통교사노조 2차 파업 계획 발표
노조 "서울시·사측이 대화 중단하면 22일부터 2차 총파업 돌입"

15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교통공사노조 2차 총파업 계획 발표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15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교통공사노조 2차 총파업 계획 발표 기자회견'. 사진=공공운수노조

[뉴스클레임]

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하 서울교통공사노조)이 안전업무 외주화 저지, 현장 안전인력 공백 대책 수립을 요구하며 2차 총파업을 예고했다. 지난 9~10일 1차 파업을 벌인 뒤 12일 만에 벌이는 2차 파업이다.

서울교통공사노조는 15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2일부터 2차 총파업에 돌입한다. 안전한 지하철, 위험과 안전의 외주화로 역행하지 않는 지하철로 돌아오기 위해 전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거듭 올 12월 정년퇴직에 따른 현장안전 및 업무 공백 대책을 요구하고 있지만, 사측은 물구 한 달 보름 뒤에 벌어진 현장 안전인력 공백에 대한 어떠한 대책도 제시하지 않고 있어 현재가지 교섭이 열리지 못하고 있다"며 "서울시와 사측이 갑자기 대화를 중단하고 공세 일변도로 나간다면 불가피하게 22일부터 2차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말했다.

노사 간 핵심 쟁점은 사측의 '인력 감축안'이다.

앞서 오세훈 시장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서울교통공사의 '경영 합리화'를 위해 2026년까지 공사 직원 2212명을 감축하는 인력 감축안을 이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서울교통공사가 서울지하철 적자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한 것이다. 인력 감축 규모는 공사 전체 정원 1만6367명의 약 13.5%에 달한다. 

노조는 당장 올해 정년퇴직 인력, 결원 인력, 신규노선 인력 등 800여명을 채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적자의 근본적인 대책은 제쳐두고 경영 효율화로 포장해 추진되는 인원 감축과 업무의 외주화가 다시 '위험의 외주화'로 돌아가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명순필 서울교통공사노조 위원장은 "서울시와 공사의 전시성, 실적성 강압적인 인력 감축 드라이브가 노동관계 법률과 단체협약을 무시하고 있다. 나아가 시민과 지하철 노동자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안전과 위험의 외주화가 초래한 끔찍한 비극의 교훈을 잊을 수 없는 우리는 이런 불안한 지하철을 묵인할 수 없다"고 분노했다.

그는 "불과 한 달 반 뒤에 지하철과 시민, 노동자는 안전인력 공백으로 위험에 노출된다. 누구보다 현장 안전 업무와 인력 공백에 대한 책임을 지고 대책을 강구할 당사자는 마땅히 사측이다. 1월부터 ‘알아서 하라는 식’의 사측의 태도는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비판했다.

또 "노사가 합의한 하반기 신규채용과 뻔히 예견되는 안전인력 공백을 단체교섭의 카드로 사용하는 태도도 마찬가지다. 재정 구조의 근본적인 원인은 정부와 서울시의 정책 수행에 따른 지원 외면이다. 원인과 무관한 엉뚱한 처방으로 시민과 노동자에게 책임을 떠넘길 수 없다”면서 "언제든지 교섭할 준비가 돼 있다. 서울시와 공사의 진지한 입장 변화를 거듭 촉구하며, 의미있는 진전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