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국어대학·경희대 학생들 전세사기 피해 의혹
경실련 "전월세 신고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의무 시행해야"

[뉴스클레임]
한국외국어대학과 경희대 학생 수십명이 대규모 전세 사기로 피해를 봤다는 주장이 나왔다. 피해자모임에 따르면 최소 80명 이상이 전세사기 피해를 봤고, 인당 5000만 원에서 2억 원 이상 피해를 본 것으로 알려젔다.
이번 대학생 청년층 전세사기 피해 발생에 대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은 "전세제도가 지속되는 이상 보증금 미반환이라는 치명적인 리스크를 완전히 차단하기는 불가능하다. 전세제도의 위험이 최대한 임차인에게 전가되는 것을 공공이 차단·흡수해 관리 가능한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17일 성명을 내고 "대학생·청년층은 부동산 관련 지식이나 정보도 부족할 수밖에 없다. 이들이 전세사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치한다면 우리사회의 미래를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전세제도의 근본적인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는 ▲전월세 신고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의무 시행 ▲임대차 계약시 임대인 반환보증가입 의무화 ▲전세자금대출 DSR 적용, 전세자금보증 기준 강화 ▲장기공공주택 대거 공급 등을 제시했다.
경실련은 "현재 주택 임대인은 등록이나 신고 의무 없이 얼마든지 임대를 놓을 수 있기 대문에 정부는 그 실태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는 전월세 신고제 의무화가 제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과태료 부과를 반드시 시행시켜야 한다. 보증금 6000만원, 월세 30만원이라는 예외조항도 폐지해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또 "임대인의 반환보증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며, 반환보증보험 미가입 시 임대차 계약이 성립될 수 없도록 해야 한다. 임대사업자 등록 의무화와 연계해 임대인에 대한 검증을 강화하고, 임대보증금보증 제도와 일원화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전세사기와 같은 무주택 서민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사건들을 근본적으로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정부가 영구·50년·국민·장기전세 등 장기공공주택을 대거 확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실련은 "정부는 장기공공주택 제고율이 7~8%에 이른다고 주장하지만, 경실련이 2020년 조사해본 결과 저렴한 임대료로 20년 이상 안정되게 살 수 있는 진짜 장기공공주택은 4%에 불과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3기 신도시 부지와 강제수용으로 확보한 공공택지의 매각을 전면 중단하고 장기공공주택을 대거 확보해야 한다. 또한 전세사기 주택은 공공 우선매수권을 활용하여 저렴하게 매입해 피해자들이 안정적으로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 전세사기특별법 개정, 신탁사기 피해자 유일한 희망
- 대통령실 "박영선 총리·양정철 실장 인선, 검토된 바 없어"
- [잡채기 칼럼] 임금 비판하는 일곱 신하
- [클레임 만평] 4월 17일자
- KB국민카드-횡성군, '특산품 판매 지원' 업무협약
- [사설] 대통령은 제대로 된 사과 왜 못하는가
- GS25-농림축산식품부-봉땅, '해외 수출 활성화' 업무협약
- LG생활건강 더후, ‘비첩 NAD+ 심포지엄’ 개최
- LG전자, 美서 멸종 위기 동물 알린다
- 지씨셀 관계사 아티바, 美서 '루푸스 신염 치료제' 임상 투약
- CJ온스타일, '컴온스타일' 상반기 최대 실적
- 롯데웰푸드-HD현대오일뱅크, 바이오 디젤 폐자원 순환 협력
- 하나은행, 금융권 최초 '유산정리서비스' 시행
- JW중외제약, CCM 강화 서약서 작성
- 롯데면세점, 김포공항 국제선 전 면세구역 통합운영
- 우아한형제들 롯데홈쇼핑 bhc치킨 外(유통家 이모저모)
- 코코아 가격 폭등… 빼빼로 100원·티코 1000원 인상
- 웅진씽크빅, 스마트올클래스 CP 파트너사 2000호점 달성
- 제일헬스사이언스, '옥스팜 트레일워커'에 제품 후원
- 넷마블, 신작 MMORPG '레이븐2' 사전등록 시작
- 홍익표 "경제 심상치 않아… 정부·여당, 추경 편성에 협력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