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제나라 때 맹상군(孟嘗君)은 조나라 평원군(平原君), 위나라 신릉군(信陵君), 초나라 춘신군(春申君)과 함께 ‘사군자(四君子)’로 일컬어졌던 전국시대의 실력자였다.
그 맹상군에게는 식객(食客)이 자그마치 3000명이나 있었다. 그중에는 희한한 ‘주특기’를 가진 식객이 많았다. ‘계명구도(鷄鳴狗盜)’의 고사에서 보듯, 도둑질 잘하는 식객과 닭 울음소리를 내는 식객도 있었다. 맹상군은 그 식객 덕분에 목숨을 건지기도 했다.
하후장(夏侯章)이라는 식객도 독특했다. 하후장은 입만 열었다 하면 맹상군을 비난했다. ‘이게 잘못되었다, 저게 잘못되었다’ 하면서 따지고 비판만 했다.
좋은 소리도 자주 들으면 싫어지는 법이라고 했다. 싫은 소리, 쓴소리가 좋을 수는 없었다. 맹상군으로서는 귀찮은 식객일 수도 있었다.
그런데도 맹상군은 하후장을 오히려 우대했다. ‘월급’으로 ‘말 4마리분의 사료와 100사람분의 식량’을 지급했다.
그런 맹상군의 처사를 놓고 입방아가 간단치 않았다. 누구는 맹상군을 위해서 온갖 궂은일을 다 하고 있는데, 하후장은 매일같이 쓴소리, 잔소리만 늘어놓으면서도 넉넉한 월급을 챙기고 있다고 투덜댄 것이다.
어떤 식객은 하후장을 쫓아내자고 건의하기도 했다. 하지만 맹상군은 단호했다.
“나는 하후장에게 적절한 대접을 해주고 있다. 더 이상 거론하지 말아라.”
하후장 역시 당당했다. 자기가 맹상군을 비난하는 이유를 공개적으로 밝혔다.
“맹상군은 나에게 많은 월급을 주고 있다. 나는 공도 세우지 못하며 월급을 축내고 있다. 내가 맹상군을 비난하는 것은 조금이라도 공을 세우고 싶어서다.… 더구나 맹상군은 싫은 소리를 해도 기꺼이 받아들인다. 나의 비판 덕분에 맹상군의 덕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지 않은가.”
조선 때 실학자 성호 이익(李瀷)은 이렇게 말했다.
“임금을 비판하는 신하가 7명만 있어도 된다고 공자가 말한 바 있다. ‘쟁신칠인(爭臣七人)’이 있으면, 임금이 비록 무도(無道)하더라도 천하를 잃지는 않을 것이라고 헸다. 그러므로 임금은 자신을 비판하는 신하가 없다는 사실을 걱정해야 한다. 임금이 비판을 받아들여 실행한다면 어찌 신하가 7명에 그칠 것인가. 비판을 받아들이지 않고 화를 내고 벌을 준다면 7명의 신하도 얻기 힘들 것이다.”
어떤 조직이든, 리더의 판단이 언제나 옳을 수는 없다. 최고경영자의 생각이 틀리면 기업은 비틀거릴 수 있다. 사령관의 지시가 잘못되면 군대가 전멸할 수 있다. 국가도 다를 수 없다. 정책이 흔들리면 국민은 고달파질 수 있다.
리더의 판단이 옳으면 당연히 따라야 하지만, 틀렸을 경우 바로잡고 수정할 필요가 있다.
윤석열 정부가 그 필요성을 모를 리 없다. 윤석열 정부 초, 쓴소리를 담당하는 ‘레드팀(red team)’이라는 것을 만들기로 했다는 소식도 있었다. 그러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한 모양이다. ‘총선 참패’가 보여주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국무회의에서 “이번 총선을 통해 나타난 민심을 경청하겠다”고 했다. 그 민심을 윤 대통령에게 있는 그대로 전해줄 ‘비판하는 7명’에 대한 인사가 궁금해지는 것이다.
주요기사
- [오늘 날씨] 황사 유입에 미세먼지 '기승', 서쪽지역 중심 짙은 안개… 아침 최저기온 5~13도, 낮 최고 18~25도
- 스마일게이트, SGM 인디게임 부문 16기 모집
- LG유플러스, 고객 민생사기 피해 예방 캠페인
- 현대차, ‘지금은 충전중’ 여행 지원 캠페인 실시
- '신한카드 SOL트래블 체크' 주 이용처는?
- SPC삼립, ‘Bread 31’ 론칭… 건강한 식문화 트렌드 선도
- CJ올리브네트웍스, 마케팅 컨퍼런스 ‘GRB Seoul’ 마무리
- LG생활건강 더후, 中징둥닷컴 ‘스타어워즈’ 수상
- 이랜드 채용
- 삼성전자, 업계 최고 동작속도 LPDDR5X 개발 성공
- LG전자, 월드IT쇼서 AI 혁신 제품 전시
- 용산 드래곤즈, 용산구 매력정원 조성
- 신한은행-한국콘텐츠진흥원 업무협약 체결
- 대웅제약, ‘나보타 DEEP 심포지엄’ 개최
- 동아제약, 어린이 알러지약 ‘챔프 알러논’
- 세계 혈우인의 날… JW중외제약, 혈우병 인식 제고 캠페인
- 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글로벌 정식 출시
- 스타벅스, 동반위와 경동시장 새 단장
- NH농협은행 '부모급여 만원의 행복'
- 코스피 상승 출발… 뉴욕증시 혼조세 마감
- 신한금융-행정안전부·경찰청, ‘범죄 피해자 지원사업’ 협약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투자와연금리포트 발간
- 장애인의 날… 코웨이 블루휠스 휠체어농구단, 발달장애인 초청
- GC녹십자, 혈우병 환아 '소원 성취' 응원
- 유한양행 자회사 이뮨온시아, 기술성평가 통과
- GS25-고피자, 업무협약 체결
- SPC 던킨 이마트 롯데마트 外(유통家 이모저모)
- 한화시스템, '국방원가관리' 최고득점 수석 배출
- 넥슨 '히트2' 일본 정식 서비스 돌입
- hy, '윌' 모델에 손흥민 발탁
- 하이트진로, 시각장애인 지원
- BMW 코리아 미래재단, ‘퓨처 히어로즈’ 출범
- 롯데건설-부산센터, 유망 스타트업 발굴
- [실적] 한국맥도날드, 지난해 직영 매출 첫 1조원 돌파
- 사과·고구마 등 온라인 판매 농·수산물 안전관리
- 이재명 "국민들 다수에 필요한 정책하는 건 포퓰리즘 아냐"
- 넥슨, 웰메이드 IP로 서구권 승부수
- 대통령실 "박영선 총리·양정철 실장 인선, 검토된 바 없어"
- SPC 파리바게뜨, ‘Let’s Paris’ 광고 글로벌 론칭
- 엔씨 '블소' 봉마 던전 업데이트
- 한미약품 '눈앤큐'… 눈 피로 개선
- '앵무새 말고 기재부 나와라'[공무직 인건비 예산요구안 발표]
- 공공운수노조 "정부 예산에 '인건비' 상식 묻는다"
- 윤재옥 "실의 빠져있을 여유 없어… 단일대오 해야"
- "21대 국회 임기내,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 촉구"
- 전세사기특별법 개정, 신탁사기 피해자 유일한 희망
- 대책위 "정부여당,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에 집중해야"
- HDC현대산업개발, 협력사와 상생협력 강화
- 노스페이스, 파리올림픽 ‘팀코리아 공식 단복’ 공개
- 대학생 청년층 상대 전세사기… "임대인 반환보증보험 의무화 시행"
- [클레임 만평] 4월 17일자
- KB국민카드-횡성군, '특산품 판매 지원' 업무협약
- [사설] 대통령은 제대로 된 사과 왜 못하는가
- '본업 복귀' 이찬원, 더 깊어진 감성 보이스
- [내일 날씨] 강원영동·남부지방 중심 뿌연 황사, 강원·경북산지 한때 소나기… 낮 기온 25도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