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저연차 교사 지원 위한 정책 제안' 기자회견
전교조 "근본 대책 수립해 저연차 교사 문제 해결해야"

[뉴스클레임]
6월 11일은 올해 3월 첫 발령을 받은 신규교사가 처음 수업을 시작한 지 100일 되는 날이다. 신규교사 발령 100일을 맞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은 신규교사와 저연차 교사가 처한 암울한 현실을 이야기하며 저연차 교사 지원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 나섰다.
전교조는 1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은 학교 구성원 모두가 발령 100일을 축하하며 격려하는 기쁜 날이다. 하지만 물가 폭등, 업무 과중으로 신규교사와 저연차 교사가 고통받는 상황 속에서 마냥 기뻐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라고 말했다.
특히 도심 지역의 저연차 교사는 주거비조차 제대로 보전받지 못하고 있다는 게 전교조의 설명이다. 지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물가상승률을 더한 수치는 13.8%(2024년 2.6% 전망치 포함)이지만, 같은 기간 공무원 보수인상률은 6.5%에 그쳐 실질적인 교사 임금은 7.3% 삭감됐다는 것.
심지어 신규교사를 비롯한 저연자 교사의 임금은 더 낮게 책정돼 최저시급 대비 월 15만원, 일 600우너 정도 더 받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실제 전교조 서울지부에서 서울지역 전체 학교급 교사 104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30대 교사들이 교사들이 교직을 떠나는 주된 원인으로 ‘대도시에서 한 달 살기 빠듯한 임금’, ‘악성 민원’이 각각 34%로 가장 많이 집계됐다
전교조는 "저연차 교사의 경우 학교 현장 적응 기간도 없이 곧바로 업무에 투입돼 마음 건강이 악화할 위험 상황에도 더 심각하게 노출돼 있다. 하지만 이를 지원할 별도 대책은 없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또 "저연차 교사의 퇴직 비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집계된 5년차 미만 퇴직교원은 전년도 대비 두 배 가까이 급증했으며, 처음으로 전체 퇴직교원 중 저연차 교사의 비율이 10%에 달했다"며 "저연차 교사가 처한 저임금, 업무 과중, 마음 건강의 삼중고가 교직 이탈을 심화시키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일부 지역 및 특정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저연차 교사 지원 정책의 부재에서 비롯된 구조적인 문제"라며 "정부와 교육당국은 저연차 교사들의 고충을 외면하지 말고 근본 대책을 수립해 저연차 교사의 교직 이탈 문제와 업무 과중, 저임금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주요기사
- 다가올 '폭염'이 무서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
- 민주 "끝없는 액트지오 의혹… 규명 없이 시추 예산 늘려줄 수 없어"
- [클레임톡] 정치판의 글짓기 싸움
- 검찰, 김정숙 '인도 외유 의혹' 수사 착수… 국힘 "공정한 수사 기대"
- 미래에셋증권, 개인투자용 국채 라이브 세미나
- 경실련 "22대 국회, 서민 위한 실질적 개혁 입법에 나서야"
- 이랜드그룹-에어인천, ‘K-패션 글로벌 항공물류 경쟁력 강화’ MOU
- 스마일게이트 로스트아크, '로아온 썸머' 종료
- 우리은행, '장금이 온앤온 성과대회'서 우수 은행 선정
- 정동원, 기부의 끝은 없다… 희귀난치질환 환아 치료비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