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범시민사회 탈핵선언대회' 개최

24일 오전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계단 앞에서 열린 '범시민사회 탈핵선언대회'. 사진=탈핵시민행동
24일 오전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계단 앞에서 열린 '범시민사회 탈핵선언대회'. 사진=탈핵시민행동

[뉴스클레임]

다가오는 대선에서 핵발전이 아닌 햇빛과 바람의 에너지로 정의로운 전환을 시작하고 탈핵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시민의 목소리가 한자리에 모였다. 

전국 456개 범시민사회 단체들은 24일 오전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범시민사회 탈핵선언대회'를 갖고 윤석열 정부의 핵 정책 파면을 촉구했다.

이들은 "윤석열은 파면됐지만, 윤석열들이 만든 기후-에너지정책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제는 윤석열들의 폭거를 가능하게 했던 사회를 바꾸는 과제가 남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앞으로 5년은 탈핵과 재생에너지로의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골든타임이다. 차기 정부 임기 안에 핵발전소 10기의 수명이 끝난다"면서 "윤석열 정부가 계획한 신규핵발전소가 2038년부터 가동되면 2099년까지 가동될 수 있다. 탈핵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중요한 결단을 해야 한다.  당장 시작해야 할 기후 대응을 핵발전 때문에 2036년 이후로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핵 개발 정책은 우리의 안전을 보장해 주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을 더욱 위험한 세상으로 내몰 뿐이다"라며 "한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피폭자가 많은 국가이고 한반도는 한국전쟁 이래 핵 전쟁의 위험이 상존하는 지역이다. 이제 핵 사고 핵 전쟁의 위험에서 벗어나야 한다. 비인도적 무기인 핵무기 금지에 동참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여성환경연대 이안소영 상임대표는 "곧 체르노빌 참사 39주년이다. 체르노빌 참사로 모든 생명이 파괴된 땅에서 여성들은 절망하며 삶을 이어나가야 했다. 후쿠시마 사고 때도 아이들을 안고 피난을 결정해야 하며 돌봄과 불안을 도맡는 이중삼중의 고통을 겪어야 했다"며 "국가와 기업은 거대한 에너지 시스템을 앞세워 인간과 비인간 생명의 터전과 이웃을 빼앗고, 고통은 늘 가장 약한 존재들에게 외주화하고 떠넘긴다"고 말했다.

그는 "탈핵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공동체와 동료 생명들을 살리는 생명과 정의의 정치이며, 기후재난의 시대에 유일한 에너지 정책이다"라며 "성평등하고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은 여성만이 아니라 시민 모두가 돌봄의 책임을 분담하는 동시에, 에너지 정책의 중심에서 그들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돌봄중심사회를 만드는 일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핵발전으로 인한 주민 피해를 제대로 조사하고 대책을 철저히 세우고, 노후핵발전소 수명연장 금지하고 신규핵발전소 및 SMR 추가건설을 중단하고 탈핵사회로 나아가야 한다. 차기정부가 들어서는 바로 지금 중요한 결단, 탈핵선언을 해야 때이다"라고 밝혔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