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족협의회 등 "진상규명·희생자 명예회복 이뤄져야"

지난달 20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진행된 '이태원 참사 유가족·시민사회 21대 대선 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사진=참여연대
지난달 20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진행된 '이태원 참사 유가족·시민사회 21대 대선 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사진=참여연대

[뉴스클레임]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약속대로 새 정부에서 참사의 진실이 밝혀져 생명안전 사회로의 도약을 이루어내주길 당부드린다"고 요청했다.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4일 논평을 내고 "대한민국 21대 이재명 대통령의 5년 임기가 시작됐다. 우리는 이재명 대통령이 선거 운동 과정에서 이태원 참사의 진상규명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유가족과 피해자들을 위로하는 입장을 여러 차례 표명했던 것을 기억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은 지난달 20일 참사의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해 차기 정부가 반드시 해야 하는 네 가지 과제로 ▲이태원 참사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특조위에 빠짐없이 제공 ▲제대로 된 진상규명을 보장하기 위해 특조위 인력 및 예산을 충분히 확보 ▲온전한 진상규명과 피해자 지원이 이뤄지도록 특별법 개정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포함한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최선 등을 제시했다.

유가족협의회 등은 "윤석열 정부 3년 간,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피해자들은 단 한 번도 정부의 존재를 느끼지 못했다. 대통령을 비롯한 고위직 공무원들의 태도는 진상규명 조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참사 관련 책임자들은 국회 국정조사특위에 출석을 거부하고 증언을 회피하거나 자료 제출도 끝내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어렵게 특별법이 제정된 뒤 이태원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조사위원회가 참사 발생 2년이 다 돼 출범했지만, 정부의 의도적인 준비 소홀과 행정 절차 지연, 주요 간부들에 대한 늑장 임명 등으로 지금까지 조사개시 결정조차 하지 못한 상황이다"라고 호소했다.

이들은 "이태원 참사의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을 더는 미룰 수 없다. 서울 한복판에서 159명의 시민들이 사망한 유례없는 비극적 참사의 진실을 더 이상 묻어 두어서는 안 된다"며 "이재명 대통령은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을 빠른 시일 내에 만나 이야기를 듣고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요청을 최우선으로 해결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21대 대통령 선거는 국민을 향해 총을 겨눈 무도한 정권을 끌어내리고 시민의 생명과 안전이 가장 최우선시 되는 사회로 전환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면서 "이제 안전사회로 나아가는 한 걸음을 떼었다. 이재명 대통령과 새 정부의 안전 사회를 향한 진정성 있는 노력과 의지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