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여성노동조합 등 기자회견 열어
성평등 노동 실현, 성별임금격차 해소 등 요구

[뉴스클레임]
여성노동단체들이 성평등한 가치가 새 정부의 정책에 반영되기를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여성노동자회, 서울여성노동자회, 인천여성노동자회, 부천여성노동자회, 안산여성노동자회, 수원여성노동자회, 전국여성노동조합 등은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평등 노동 없는 ‘진짜 대한민국’은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내란 종식과 불평등 해소를 바라는 전 시민의 기대를 안고 드디어 21대 새로운 대통령이 당선됐다. 그간 외면됐던 성평등 노동 정책의 부재는 심각한 문제로 새 정부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라고 주장했다.
특히 "지난 3차 대선 TV 토론회에서 이준석 후보가 전 시민을 향해 한 성폭력 발언은 단순히 개인의 일탈을 넘어,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성차별적 구조와 시스템의 문제를 고스란히 드러낸 사건이다. 윤석열은 여성에 대한 구조적 성차별을 부정하고, 여성혐오세력이 페미니즘을 공격하도록 부추겼다. 그 사이 정치권은 침묵했고 이를 방관했다"고 비판했다.
또 "그동안 여성노동자, 비정규직, 사회적 약자들은 차별과 혐오에 지속적으로 노출됐고 사회적으로 배제되고 소외돼 왔다. 지난 겨울 광장은 ‘윤석열 파면’과 함께 성평등하고 차별없는 세상을 외치며 사회대개혁을 요구하는 열망으로 들끓었다"고 말했다.
이들은 새 정부에 성평등한 노동가치의 실현을 촉구한다며 ▲모두가 돌봄의 권리를 누리는 사회 ▲청년 여성들이 내일을 설계할 수 있는 사회 ▲성평등 공시제 도입, 채용 과정의 성비 공개, 여성 임원 및 관리자 50% 할당제 도입 등 적극 추진 ▲여성 노동자에게 안전한 일터 보장, 직장 내 성희롱 산업재해로 인정 ▲모든 노동자의 권리 인정하는 사회 등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정부는 ‘돌봄자-노동자-시민’ 모델을 정부 정책으로 설계해야 한다. 주 32시간 노동제, 출산 및 육아휴직 급여의 보편화, 유급 돌봄노동의 사회적 인정, 돌봄의 공공성 강화는 돌봄중심 사회를 실현하는 핵심과제다"라며 "성평등 노동 없는 ‘진짜 대한민국’은 없다. 새 정부는 지금 당장, 성평등 노동 실현하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