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조직·명칭 개편…친환경차·미래차 확대 트렌드 속 서비스 경쟁력 강화 포석

현대차의 직영 서비스센터가 '하이테크 센터'로 변신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19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현대차는 전국의 20여개 직영 서비스센터 조직을 하이테크센터로 개편하고 나섰다.
단순히 간판만 바꾼 게 아니라 '근본적으로' 미래차 시대에 앞서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초 작업이라는 분석이다.
그동안 서비스센터에서 주로 내연기관 차량 위주의 정비·점검이 이뤄졌지만 앞으로 이를 넘어 자율주행·전동화·커넥티비티 등에 대한 종합적인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방향성인 셈이다.
실제 지난해 현대차 판매에서 전기차 등 친환경차 비중이 크게 늘었다. 지난해 현대차 전기차 판매는 전년 대비 128.1% 뛴 4만2448대로 집계됐다. 또 하이브리드는 6만8416대, 수소전기차는 8502대 판매 기록을 세웠다.
특히 그랜저 하이브리드는 지난해 내수 시장에서 2만6977대가 팔리며 현대차 친환경차 가운데 베스트셀링 모델 1위를 기록했고, 현대차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한 첫 전기차 아이오닉5도 지난해 2만2671대가 판매돼 2위에 오르며 돌풍을 일으켰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올해 신년사에서 "차세대 전동화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전 영역에서 전동화 체제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도 이런 변화와 궤를 같이 한다는 분석이다.
정 회장은 메타버스 내에서 신년회를 열고 올해 '친환경 톱 티어'(Top Tier) 브랜드 기반을 확고히 다지면서,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소프트웨어 원천 기술을 확보해 자율주행·로보틱스·UAM(도심 항공 모빌리티) 등 미래 사업 영역에서 스마트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나가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주요기사
- 車·전자기업부터 통신사까지‥경계없는 '로봇' 사업 경쟁
- 전기차·자율주행차 '미래 모빌리티쇼' 방불케한 CES 2022
- 車를 넘어 '메타모빌리티로'…CES서 '궁극의 이동 자유' 화두로
- [잡채기 칼럼]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 집콕 명절에 혼술족 공략… ‘와인’ 선물세트 확대
- 오리온의 ‘맛있는 건강’ 통했다
- 코로나19 신규확진 다시 5000명대… 이상반응 입원치료자도 방역패스 인정
- 신한금투-연세대 바이오헬스기술지주회사 MOU
- “설 명절 택배·상품권 주의하세요”
- [영상] 대선 D-50… “공공의료 인력확충 위한 대책 무엇인가”
- 예‧적금 금리 인상 도미노
- [사설] 김건희 7시간 통화 공개에 이재명 형수 욕설 맞불, 씁쓸한 국민들
- 현대차, 글로벌 車반도체 부족에도 실적 선방…작년 영업익 6.7조 1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