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클레임] 미국 텍사스주의 초등학교에서 총을 난사, 어린이를 포함해 21명이나 되는 사망자를 낸 범인은 불과 18세의 젊은이였다는 소식이다.
얼마 전 뉴욕주 버펄로의 슈퍼마켓에서 총기를 난사한 범인도 18세였다. ‘백인 우월주의자’라고 했다.
지난해에는 19살의 젊은이가 인디애나의 공항 인근 창고에서 엽총을 휘두른 사건도 있었다. ‘무차별’ 난사로 몇 분 사이에 10명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이 젊은이들은 몇 살 때 사격을 배웠는지 궁금해지고 있다. 26대 대통령인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13살 때 총을 선물로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소년’ 루스벨트는 아마도 그때부터 ‘사격연습’을 했을 것이다.
그런데, 사격과는 관계가 전혀 없을 어린아이들의 총기 사고도 잊을 만하면 발생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일리노이주 돌턴의 식료품체인 주차장에 세워진 승용차에서 3살 된 아들이 20대 어머니를 권총으로 쏘아 숨지게 하는 참사가 있었다. 당시 보도에 따르면, 이 아이는 승용차 뒷좌석에 있는 권총을 가지고 장난하다가 방아쇠를 당겼는데 앞자리에 있던 어머니의 목에 명중하고 있었다.
작년 4월에는, 텍사스의 휴스턴에서 3살 된 형이 생후 8개월 동생을 총으로 쏘아 숨지는 사고도 있었다.
또, 몇 해 전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2살 손자가 할머니에게 총을 발사해서 중상을 입힌 사고도 발생했다.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조수석 뒤쪽 주머니에 있던 권총을 손자가 발견했는데, 실수로 격발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방지하는 방법은 간단할 수 있다. 총기 소유를 규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반대 논리에 밀리고 있다. “선량한 시민에게 총기를 금지하면 무법자만 가지게 되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논리다. ‘할리우드 출신’인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이 논리의 ‘옹호론자’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상황에서 총기 소유 금지는 먹혀들기가 힘들 수밖에 없다. 오히려 “내가 강하고 좋은 무기를 가지지 못하면 상대방이 가질 수 있다”며 아예 ‘고성능 총기’를 마련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인구의 3분의 1 가량이 총기 소지자라고 한다.
이번 초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과 관련해서도 선생님이 총을 차고 다니도록 하자는 ‘교사 무장론’이 나오고 있다는 보도다. “교사와 교직원이 훈련을 받고 무장하면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도 그런 주장을 한 적 있었다. 총기 참사를 겪은 학생과 부모를 백악관으로 초청한 자리에서 “무장한 교직원이 있었다면 총기 참사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한 것이다.
논란이 되자, “교사에게 총을 주자고 말한 게 아니다”며 “군대나 특별한 훈련 경험이 있는 교사에게 총기를 줄 가능성을 검토하자는 것”이라고 말을 바꾸고 있었다. 그러면 경찰관이 총격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총 잘 다루는 선생님’이 사건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이러다가는 미국의 학생들은 학교 안에서 선생님이 ‘총격전’을 벌이는 것을 보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학생들이 이를 따라서 익힐 경우에는 어떻게 할 것인지.
주요기사
- NS홈쇼핑,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 사업 참여 업무협약
- 대웅제약 ‘참지마요’ 인도네시아 확대
- bhc치킨 ‘해바라기 봉사단’, 샛강생태공원 생태적 가치 제고
- 시리얼 세대교체… 건강한 ‘그래놀라’ 주목
- 신한은행, 예적금 금리 최고 0.4%p 인상… 30일부터
- '브로르핀' 등 마약‧향정신성의약품 신규 지정
- [IT 칼럼] 빅데이터로 아날로그 줄서기 없애면 지역경제 활성화 촉진된다
- [적정주거 보장①] "용산구청은 텐트촌 주민들 목소리 들어라"
- [적정주거 보장②] '화재피해' 텐트촌 주민, 박탈당한 주거권
- 공공운수노조 “임금피크제 지침 완전 폐기해야”
- [강요당한 죽음①] 발달장애 가정의 연이은 비극 추모
- [현장+] 목숨 담보로 한 위험한 역주행
- [사설] 평산마을 집회시위 정상적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