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9.4 공교육 멈춤의 날 지지 기자회견
전국여성연대 등 "교사 행동에 연대와 지지로 함께 할 것"

[뉴스클레임]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사 삼아 49재를 맞아 '공교육 멈춤의 날'을 지지하는 시민단체의 기자회견이 열렸다.
행동하는 학부모네트워크, 남양주여성회, 전국여성연대, 진보당 여성-엄마당, 진보당 청소년특별위원회는 4일 오전 서울 광화문 이순신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은 교사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고 서이초 교사의 죽음은 교사와 교육에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었고 우리는 함께 분노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교사들은 서이초 교사 사망이후 매주 토요일 광화문에서 진상규명과 교육권·생존권을 요구하는 추모집회를 지속해왔다. 이는 서이초교사의 죽음이 ‘나의 일’ 이라는 같은 경험에서 오는 분노와 슬픔이며 더 이상 동료를 잃을 수 없다는 각오로 지금 공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지의 표현"이라고 말했다.
또 "이런 교사들의 노력에도 교육부는 49재 추모의날 이자 ‘공교육 멈춤의 날’을 불법 행위로 간주하여 중징계 방침을 발표했고, 교사들의 손과 발을 묶으려 협박 하고 있다. 오히려 교육부의 방침이 학교 혼란을 초래하고, 구조적 문제를 차단하여 교장과 교사의 싸움으로 몰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이초 교사 49재를 추모하기 위해 학교에 현장체험학습을 냈다는 중학생은 "서이초 선생님의 죽음으로 인해 지난 1일부터 교실 안은 많이 바뀌었다"고 전했다.
중학생의 발언에 따르면 교사들은 수업을 방해하는 학생들을 교실 밖으로 내보내고, 수업 중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학생의 휴대전화를 압수할 수 있게 됐다. 교권을 지키기 위해 학생인권조례를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는 "교실 안에 있는 학생으로서 '이러한 조치가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일까'라는 생가이 든다. 제가 생각하기에 학교에서의 가장 큰 문제는 학생과 교사간의 소통이 없다는 것이다. 서로에 대해 가장 아는 게 없는 이게 지금 우리나라 학교의 현실이라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가장 안전해야 할 공간에서 누군가는 죽고, 또 누군가는 문제아가 돼서 언제든지 교실 밖으로 내보내 질 수 있다. 그렇다면 이것은 교사의 인권을 지키는 것인가, 아니면 학생의 인권을 지키는 것인가"라며 "오늘 대한민국 교육의 변화를 위해 모인 선생님들을 지지한다. 경재 없이 모두가 행복한 학교에서 수업을 들을 수 있는 날을 기대한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