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 과일 매장에서 농림축산식품부 할인 지원 사과를 살피며 과일 물가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뉴스클레임 DB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 과일 매장에서 농림축산식품부 할인 지원 사과를 살피며 과일 물가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뉴스클레임 DB

[뉴스클레임]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84(2020=100)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4% 상승, 3개월 연속 2%대를 나타냈다.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작년 7월의 2.4%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했다.

정부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6% 수준에서 억제하겠다고 했는데, 지난달에는 이보다 낮아졌다.

그렇다고 마음 놓을 수는 없는 상황이다. ‘먹을거리가격은 여전히 치솟았기 때문이다.

신선과실은 31.3% 올랐고, 특히 배는 139.6%나 치솟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고 했다. 사과도 63.1%나 오르면서 여전히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구입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2.8% 상승,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상회했다.

이달 들어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김밥류와 초코아이스크림 등 일부 자체브랜드(PB) 가격이 일제히 오를 것이라고 예고된 상황이다. 심지어는 간장값까지 오르고 있다.

폭염도 물가의 복병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온이 1도 오르면 농산물값 상승률이 0.4~0.5%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른바 히트플레이션이다. 그 영향이 6개월가량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최저임금도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 최저임금이 크게 오르면 내년 물가 관리에 또 다른 난관이 닥칠 수 있다. 문재인 정부 때 최저임금이 대폭 인상되면서 제품가격이 줄줄이 인상된 과거사도 있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의식주 물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보다 평균 55%나 높았다는 자료도 있었다.

OECD 평균을 100으로 했을 때 사과는 279, 돼지고기 212, 감자값은 208이나 되었다고 했다. 오렌지는 181, 소고기는 176에 달하고 있었다. 의식주 가운데 먹을거리가격은 OECD 국가의 갑절이나 되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