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지하차도 참사 1주기 추모주간 선포
나흘간 '기억과 다짐의 순례' 행진

8일 오전 청주시 오송읍 궁평 제2지하차도에서 진행된 '오송참사1주기 추모기간선포 기자회견'. 사진=오송지하차도참사 시민대책위
8일 오전 청주시 오송읍 궁평 제2지하차도에서 진행된 '오송참사1주기 추모기간선포 기자회견'. 사진=오송지하차도참사 시민대책위

[뉴스클레임]

오송 지하차도 참사 1주기를 앞둔 8일 오송 참사 유가족과 생존자들이 사고가 발생한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를 찾았다. 이들은 "참사의 원인에 대한 책임규명과 진상규명의 재발방지대책 마련의 첫걸음이지만 오송참사 1주기가 다가오는 지금까지 그 시작조차 요원하다"며 오송참사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이들과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을 위한 길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오송참사 유가족협의회, 오송참사 생존자협의회, 오송참사 시민대책위원회는 8일 오전 '오송참사1주기 추모기간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오송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안전사회건설을 기억하고 다짐한다. 오송참사 진상규명이 희생자에 대한 추모이며 재발방지의 첫걸음이다"라고 말했다.

대책위 등은 "검찰에 구조적 원인 파악 및 최고책임자 기소를 촉구했으며 정부의 재난원인조사, 국회의 국정조사를 촉구했다. 그러나 현재 정부, 지자체, 검찰, 국회는 재난원인조사, 국정조사를 포함한 진상규명을 하지 않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아직도 최고 책임자들에 대한 기소여부와 처벌은 불분명한 상태"라면서 "지속적인 재난과 관련된 구조적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최고 책임자들의 무관심과 무능에 대한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청주지방법원 재판부는 참사발생 10개월만에 오송참사발생의 1차적인 원인인 재방붕괴에 따른 책임자들에게 중형을 선고했다"며 "이제는 미호천교 공사와 재방의 관리감독을 부실하게 했고, 재난참사를 막을 수 있었던 경고와 신고를 무시하고 골든타임을 날려버린 지자체의 최고책임자들에 대한 책임을 물을 차례이다. 관계기관의 최고책임자를 중대재해처벌법상의 중대시민재해로 처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최고책임자 처벌', '오송참사 국정조사', '제대로 된 진상규명' 등이 적힌 현수막을 들고 청주시내까지 거리 행진을 펼쳤다.

이들은 오는 11일 충북도청 앞에서 나흘간의 행진을 마무리한 후 추모 집회를 열 예정이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