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교수·연구자 시국선언
"국민 대다수, 심정적으로 대통령 해고"

서울대 교수·연구진이 28일 오후 서울대 박물관 강당에서 시국선언 발표를 하고 있다.
서울대 교수·연구진이 28일 오후 서울대 박물관 강당에서 시국선언 발표를 하고 있다.

[뉴스클레임]

윤석열 대통령의 모교인 서울대학교 교수들이 윤석열 대통령 퇴진 시국선언 대열에 합류했다. 

서울대학교 교수·연구자 525명은 28일 오후 서울대학교 박물관 강당에서 시국선언문을 발표,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윤석열 대통령 퇴진과 김건희 특검에 뜻을 모은 동료 시민들, 전국 각 대학의 동료 교수·연구자들과 함께 윤석열 정부의 조속한 퇴진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서울대 교내 곳곳에 나붙은, 윤석열과 동문이라는 사실이 부끄럽다는 제자들의 대자보가 양심의 거울처럼 우리를 부끄럽게 한다. 서울대가 교육과 연구에서 제대로 인권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가르치지 못한 채 ‘영혼이 없는 기술지식인’을 양산해 온 것은 아닌지 참담하고 죄스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윤 대통령 취침 이후 사회의 보편적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많았다며 이제는 일상다반사처럼 돼 국민이 더 이상 참기 힘든 상태가 됐다고 말했다.

의료대란, 연구개발 예산 삭감, 경제적 고통에 대해서도 윤석열 정부 실정의 결과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폐업한 소상공인의 숫자와 규모가 최고치를 경신하고 민생 경제의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데도 정부는 속수무책이다. 대통령은 근거 없는 낙관론으로 국민을 기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주의 시스템의 붕괴에 대한 우려의 뜻도 표했다. 이들은 "정치를 정적과 비판 세력에 대한 수사와 기소로 대체한 검사 출신 대통령과, 권력의 비호에 앞장서는 검찰로 인해 국민들은 더 이상 사정기관과 사법기관의 공정성과 정의를 믿을 수 없게 됐다"고 평가했다.

또 "언론의 권력비판 기능과 국민의 인권과 알 권리를 지켜야 할 민주주의 시스템이 오히려 언론과 국민의 비판 목소리를 틀어막는 데 악용되는 일도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권력에 대한 언론의 비판과 감시 기능이 사라졌다. 그나마 제 역할을 하려는 언론사와 기자들에게 정부, 여당과 일부 사회단체의 고소, 고발이 늘 따라다닌다"고 말했다.

서울대학교 교수·연구자들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민주주의가 안착되고 개혁이 추진될 줄 알았는데 채 10년도 되지 않아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정치·사회·경제·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역행과 퇴행이 심각하다"며 "윤 대통령이 하루라도 빨리 물러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거부권은 결코 대통령의 특권이 아니다. 이제 국민이 대통령을 거부한다. 국민 대다수는 이미 심정적으로 윤 대통령을 해고했다"며 "김건희를 둘러싼 각종 의혹, 그것을 은폐하기 위한 권력의 자의적 남용, 최근 불거진 공천개입과 국정농단 의혹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특검은 무너지는 민주주의를 일으켜 세우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