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련, 교육정책 요구안 발표
"다양한 교육 수요 반영한 중장기적 교원수급계획 수립해야"

28일 오후 서울 광화문 월대 앞에서
28일 오후 서울 광화문 월대 앞에서 열린 '전국교육대학생연합 교육정책 요구안 발표 기자회견'. 사진=전국교육대학생연합

[뉴스클레임]

전국교육대학생연합(이하 교대련)이 교육정책 요구안을 발표, “대선후보들은 요구안에 대한 성실한 응답과 정책 반영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교대련은 28일 오후 서울 광화문 월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대선은 2022년 교원 정원 감축, 2023년 서이초 사건, 2024년 교대 입학 정원 감축 이후 처음으로 치러지는 대선이다. 하지만 여전히 ‘국가가 교육을 어떻게 책임질 것인가’에 대한 실질적 논의는 부족한 실상이다”라고 주장했다. 

이날 교대련이 제시한 ‘교육정책 요구안’에는 ▲교육대학의 국가 책임 강화 ▲안전한 학교 환경 보장 ▲중장기적 교원수급계획 ▲교육대학 커리큘럼 개편 등이 포함돼 있다.

교대련은 전국 5개 학교 330명의 학교별 원탁회의, 6개 학교 2056명의 온·오프라인 설문조사, 2207명의 총투표와 서명운동, 100명의 전국 집중 오픈스페이스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요구안을 만들었다. 

윤상화 교대련 의장은 “그동안 발표됐던 교육 정책에 예비교사의 목소리는 얼마나 반영됐나”라며 “예비교사들이 꿈꾸는 학교는 모든 교육 당사자가 안전하고 존중받는 공간이지만, 서이초 사건 이후 교권 보호에 대한 언급은 많지만 실효성 있는 정책은 어디에도 없다”고 발언했다.

그는 “교육대학생들이 현장에 나갈 준비를 하는 교육대학교는 어떠한가. 30년간 명칭만 바뀌었을 뿐, 시대 변화에 걸맞은 교육과정 개편 없이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면서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이번 대선이 그 전환점이 돼야 한다. 모든 교육 당사자가 안전하고 존중받는 학교를 만들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예비교사들이 현장에서 제대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의 커리큘럼도 과감히 개편돼야 하고, 교대를 방치하는 정부는 더는 없어야 한다. 초등교육에 대한 국가책임은 교육대학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에서 시작돼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번 대선은 교육대학생들의 목소리가 정책으로 이어지는 출발점이 돼야 한다. 아이들이 더 행복하게 배우고, 교사들이 자긍심을 가지고 가르칠 수 있는 교육 현장을 함께 만들어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