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강수 "구민과 함께 법적 대응 및 모든 수단 총동원"

박강수 마포구청장이 9일 오후 서울 마포구 마포자원회수시설 앞에서 마포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협약 개정 철회 및 소각장 추가설치 반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박강수 마포구청장 SNS
박강수 마포구청장이 9일 오후 서울 마포구 마포자원회수시설 앞에서 마포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협약 개정 철회 및 소각장 추가설치 반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박강수 마포구청장 SNS

[뉴스클레임]

박강수 마포구청장이 서울시가 마포구를 배제한 채 체결한 ‘마포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협약’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박 구청장은 9일 오후 마포 상암소각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구민과 함께 법적 대응 및 모든 수단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달 16일 마포구를 제외한 4개 자치구(용산·종로·서대문·중구)와 마포자원회수시설 공동이용 변경 협약을 체결했다. 

마포자원회수시설은 서울시와 마포구를 포함한 5개 자치구가 폐기물 반입을 위한 공동이용 협약을 맺고 운영해온 서울시 관할 폐기물 소각시설이다. 2005년 맺은 협약에 따르면 사용 기한이 '소각장 사용 개시 후 20년'으로 지난달 31일이 기한 만료였다.

박 구청장은 "마포구를 배제한 변경 협약은 마치 피해자를 빼놓고 가해자들이 모여 합의한 것이다. 주택으로 비유하자면 소유자를 배제한 채 중개업자가 주인 행세를 하며 세입자와 임대계약을 체결한 것과 같은 상식을 벗어난 행위"라고 말했다.

특히 "4개 자치구에서 처리하는 위탁 폐기물은 연간 32만9900톤에 달힌다. 이는 마포구민에게 환경·건강상 크나큰 부담을 지우는 중대한 협약"이라고 주장했다.

소각장 설치 초기에 공동이용 4개 자치구가 약 200억원을 제공해 금전적 대가를 치렀다는 주장에 대해선 "주민의 생명권과 건강권은 경제적으로 환산할 수 없는 귀중한 가치"라며 "200억원을 돌려줄 테니 소각장을 다른 곳으로 옮겨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가 마포구민도 서울시민이라고 강조했지만 지금 서울시의 모든 결정은 마포구민에게만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며 "서울시가 일방통행을 지속하면 법적 조치를 포함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