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하다 등 '최저임금 인상' 촉구
"지역, 업종, 세대 구분 없이 최저임금 보장해야"

[뉴스클레임]
청년학생노동자들이 생계 유지를 위한 '최저임금 인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진보대학생넷, 행동하는경기대학생연대, 청년하다, 내란청산사회대개혁 청소년비상행동 등은 10일 오전 서울 광화문 월 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최저임금은 생계비이자 청년의 미래를 준비할 종잣돈이다. 지역과 업종, 세대 구분 없이 최저임금을 보장해야 한다"고 외쳤다.
이들은 "20대 평균 임금은 최저임금 수준이다. 다른 연령대에 비해 임금 상승률, 실질임금 증가율 모두 낮다"고 밝혔다
특히 "청년들에게 지금 받는 임금은 당장의 생계비이자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종잣돈이지만 업종별, 지역별, 세대별 차등적용을 입에 올리는 자들로 인해 청년들이 불안을 겪고 있다"면서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특수고용, 플랫폼, 프리랜서 노동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불안정노동은 청년세대 노동의 특징처럼 여겨지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대선에서 후보자로 나온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제시했던 '지역별 최저 임금 차등제'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상천 경북대학교 학생은 "이준석 의원의 발언은 우리를 동등한 국민으로 보는 것인지, 지역소멸을 진정 걱정하는 것은 맞는지 의구심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 경제를 살리자 말하면서도 청년이 지역을 떠나는 이유가 열악한 일자리와 낮은 삶의 질에 있다는 사실은 애써 외면한다"며 "같은 노동, 같은 임금은 대한민국 어디에서나 통용돼야 하는 상식이다. 지역 청년은 임금을 덜 받아도 되는 2등 시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민주노총 이미선 부위원장은 "똑같이 일하는 노동자인데도 나이가 어리고 경력이 적다는 이유로, 최저임금보다 낮은 임금을 받는다는 이유로 노동자로 보지 않는 잘못된 시선이 최저임금 사각지대를 만든다. 이는 곧 부당한 인권침해로도 이어진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민주노총은 지난해부터 최저임금위원회에서 기존의 임금노동자와 다른 방식으로 플랫폼에 종속돼 가짜노동자로 오분류된 노동자의 최저임금 적용을 위해 논의를 이끌어 왔다"며 "모든 노동자, 또 청년 학생들이 이 땅에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최저임금 투쟁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