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클레임] 강선우 보좌진 갑질 논란은 국민적 관심과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으며 마치 그녀만이 정치권의 갑질 문제의 상징처럼 부풀려졌다. 사실관계 확인 결과, 강선우 의원실의 보좌진 교체 건수는 평균 이하였고, 보좌진 사이에도 갑질을 경험했다는 이들보다 결백을 주장하는 이들이 더 많았다. 변기 수리를 보좌진에게 ‘지시’한 것이 아니라 ‘부탁’했으며 실제 수리는 전문업체에서 이뤄졌다. 집 쓰레기를 반복적으로 보좌진에게 처리시켰다는 주장 역시 과장된 부분이 크고, 국회에서는 보좌진이 택배 상자나 음식물쓰레기를 치우는 관행이 일반적인 점을 감안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국회의원들은 강 후보자에 대한 엄격한 비판을 넘어 마녀사냥에 가까운 공세를 퍼붓고 있다. 특히, 일부 전현직 국회의원이 ‘갑질’을 폭력의 또 다른 이름으로 규정하며 과도하게 적대적인 언사를 내뱉는 모습은 신중함을 잃은 정치공세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강선우의 사소한 부적절함을 놓고 여론과 정치권이 브레이크 없는 광기를 보이는 반면, 수많은 의원실에서 훨씬 심각한 갑질 사례가 비일비재하게 벌어지고 있다는 점은 간과된다.
이번 사건은 강선우 개인만의 문제로 축소할 사안이 아니며, 정치권 전반에 내재된 ‘보좌진 갑질’이 구조적으로 해결돼야 할 과제임을 환기시킨다. 그러나 정작 비판의 초점은 과도한 ‘팩트 왜곡’과 ‘악의적 선동’에 맞춰져야 하며, 상대적으로 더 심한 갑질 행태를 가진 다수 의원들은 면죄부를 받고 있는 현실이 더욱 아쉽다. 정치권이 진정 보좌진 인권 보호와 건강한 직장문화를 만들려면, 한 명의 정책 보좌관이 겪은 일회적 논란에만 집착하지 말고 전체 정치 관행을 냉철히 돌아봐야 한다. 강선우 보좌진 논란을 빌미로 ‘정치적 칼춤’을 추는 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