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죽음 앞에 선택적 불균형 있어선 안 돼
포스코이앤씨(대표 정희민) 등 대형산업재해 현장도 똑같이 다뤄야

지난 5월, SPC(회장 허영인) 시화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컨베이어에 끼어 숨졌다. 3년간 반복된 유사 사고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같은 장소에서 같은 방식의 죽음이 반복된다면,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것”이라며 시화공장을 직접 찾았다.
대통령의 현장 방문은 비상식적인 산재 문제에 대한 최소한의 책임 행위였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대통령이 SPC까지 가는 건 과잉 대응”이라고 한다. 과연 그런가.
허영인 SPC 회장은 대통령의 강경한 지적 후 야간근무 축소 등 인력 운영 개선안을 발표했다. 직접적인 변화가 나타났다면 의미 있는 효과다. 대형 참사를 막기 위한 선제적 개입은 과잉이 아닌 ‘정상’이다.
문제는 일관성이다. 포스코이앤씨(대표 정희민)는 지난해부터 사망사고가 잇따른 기업이다. 올해만 해도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적발이 있었다. 그러나 이곳엔 대통령 방문도, 언론 집중도 없었다. 구조물 붕괴, 감전사, 추락사가 반복돼도 조용하다.
왜 어떤 현장은 ‘과잉 관심’을 받고, 어떤 현장은 '무관심'한가. 물론 이재명 대통령이 아예 무관심한건 아니다. 다만, 산업재해는 기업의 규모나 정치적 논란 여부와 무관하게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중요한 문제다. 아마 이 대통령이 이를 모를리 없다.
그러니까 더더욱 노동자 한 명의 목숨은 어느 현장에서든 똑같이 존중받아야 한다. SPC건, 포스코이앤씨건, 정부와 언론이 보여야 할 태도는 하나다. 관심과 개입, 그리고 제도 개선이다.
한 사업장만 보여주기식 점검으로 끝낼 게 아니라, 반복되는 ‘예고된 죽음'의 고리를 끊기 위한 체계적 감시와 처벌이 필요하다. 현장을 찾아가 변화를 만드는 건 대통령의 의무이며, 그것은 ‘오버’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