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뉴스클레임]

여성단체들이 국가의 보호를 받지 못한 여성들의 죽음을 추모하고,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한국여성의전화, 한국여성노동자회, 서울여성회 페미니스트 대학생 연합동아리 등은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늦어도 너무 늦었다. 여성폭력에 동조하고 여성 살해를 방기하는 국가를 더는 지켜볼 수 없다"고 밝혔다.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이들은 "최근 데이트폭력 및 스토킹 신고 후에도 피해자의 죽음을 막지 못해 발생한 여성 살해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 작년 한 해 친밀한 관계의 남성 파트너에 의해 살해되거나 살해될 뻔한 여성은 최소 374명, 주변인까지 포함하면 피해자는 650명에 이른다. 너무 많은 죽음은 이제 일상이 된 듯 국가는 아무런 사과도, 응답도 없다"고 주장했다.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이어 "반복되는 여성 살해는 개인의 불운이 아닌, 명백한 국가와 제도의 실패다"라며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데이트폭력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률 개정과 수없이 실패해 온 가정폭력처벌법과 스토킹처벌법을 개정하지 않는 국회, 아무런 대책도 발표하지 않은 정부까지 총체적인 책임 방기 사태"라고 비판했다.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31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여성살해 및 여성폭력 종합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사진=한국여성의전화

이들 단체는 "정부는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한 여성폭력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즉각 실행해야 한다. 피해자에게 책임을 돌리고 제대로 모니터링조차 되지 않는 현행 피해자 보호조치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여성 살해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시민들이 제안해 온 해묵은 과제들을 이제는 시행하라"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