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업 언론이 당장 각성해야 하는 이유

전국 곳곳에서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 및 부상 소식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주노동자의 인권과 노동권도 차별없이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뉴스클레임 DB
전국 곳곳에서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 및 부상 소식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주노동자의 인권과 노동권도 차별없이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뉴스클레임 DB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건설사 현장은 산업재해로 인한 노동자 사망사고가 계속 반복되고 있다. 대우건설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총 1931명의 사고재해자가 발생했고, 현대건설에서는 같은 기간 17명이 목숨을 잃었다. DL이앤씨도 649명 이상의 사고재해자가 기록됐다. 이처럼 대부분 대형사들은 산재와 사망이 끊이지 않는 현실이다. 전체 건설업계로 보면 최근 5년간 노동자 1211명이 일터에서 목숨을 잃었고, 주 원인으로 추락·끼임·깔림이 대표적이다. 50대 이상 고령 노동자 비중도 43%에 달한다.

본인도 산재피해자였던 이재명 대통령이 포스코이앤씨의 연이은 산재사고에 강력한 규제, 면허취소, 입찰금지 경고를 경고하고 나섰다. 당연히 많은 업계가 극도로 긴장하고 있다.

건설 업계의 경우 만약 법대로 면허취소가 현실화된다면, 대우건설·현대건설·DL이앤씨 등 주요 대형사 대부분이 해당될 수 있다. 실제로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책임을 진 사례(동아건설) 이외에는 산재사고로 면허가 취소된 적은 없었다.

초강력 제재가 현실화 되면 그야말로 ‘셧다운 위기’까지 체감 중이다.

전례 없는 강경 드라이브에 건설사 관계자들은 “기업 전체 면허가 취소된다면 신규사업 자체가 불가능해지고, 모든 입찰경쟁력이 무너진다”고 호소한다. 업계 내부에선 이런 처벌이 “너무 과하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여전히 현장에서는 '목숨보다 사업이 먼저'라는 분위기도 만연해 있다. 기업 경영진과 현장 관리자, 심지어 업계 내부 관계자들조차 중대재해로 면허까지 날릴 위기에 “이대로 가면 다 죽는다”는 위기의식 속에서도, 매출·수주·사업 지속성이 최우선이라는 기류를 숨기지 않는다. 안전이 실질적으로 경영 의사결정의 가장 우선 순위를 차지하지 못한다는 현실은 각 사의 반복되는 사고 통계와 산재 이력에서도 확인된다.

언론 역시 깊이 부끄러움을 느껴야 한다. 산업현장에서 하루평균 여섯 명의 노동자가 사망해도 제대로 보도하지 않거나, 기업(특히 원청)을 익명으로 숨기는 관행이 반복됐다. 산재사고에만큼은 반드시 기업명을 공개하고, 언론사가  매일 산재사고를 빠짐없이 알렸다면, 지금처럼 현장 노동자들의 목숨이 이렇게 가볍게 여겨지지 않았을 것이다.

사람이 죽어 나가는데도, 그때만 모면하자는 식으로 정부와 기업 모두 심각성을 체감하지 못한다면 오늘의 비극은 매일 반복될 수밖에 없다.

결국 정부의 규제와 경고, 업계의 반발, 언론의 각성과 시민의 요구 모두가 함께 변화해야만 '죽음의 현장'이라는 대한민국 건설업의 오명을 벗을 수 있다.

실질적 책임경영, 안전문화 혁신, 그리고 일상적·정직한 보도가 동행해야 한다.

그 시작이 이제야 비로소 찾아왔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