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혁신당 성 비위 의혹으로 다시 얼룩지고 있다.
강미정 당 대변인이 “피해자의 절규를 당이 외면했다”고 공개 증언했고, 윤리·인사 기구가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들로 채워졌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외부 조사기구 도입이 장기간 지연됐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 상황에서 조국 전 대표는 “관용 없는 처벌과 온전한 피해 회복의 제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지금 국민이 묻는 건 의지 표명이 아니라, 지도부가 언제 무엇을 알고도 왜 조치하지 않았느냐다. ‘알고도 외면’의 의심을 불식시키지 못하면, 그 어떤 제도 약속도 공허하다.
정치 조직에서 성 비위는 ‘절차’가 책임을 가른다. 독립성과 전문성이 확보된 조사 체계의 즉각 가동, 피해자 중심 원칙의 준수, 이해충돌 소지가 있는 인사의 배제, 그리고 결정의 투명한 공개. 이 네 가지를 제때 실행하지 못했다면, 그 자체로 리더십 실패다.
특히 윤리·인사 기구를 가해자와 가까운 인사들로 꾸렸다는 문제 제기는 사실관계가 확인되는 즉시 지도부의 중대한 도의적 책임을 수반한다. 성 비위만큼은 ‘내 사람’ 논리와 정파 계산이 개입되는 순간 조직 전체가 공범이 된다.
조국 전 대표의 메시지는 한 박자 늦었다. 더 큰 문제는 ‘늦은 사과’가 아니라 ‘빠진 책임’이다. 언제 보고를 받았고, 어떤 조치가 논의됐으며, 왜 외부 조사기구 도입이 지연됐는지, 결정의 타임라인과 책임 주체를 낱낱이 공개해야 한다. 지도부가 알면서도 미뤘다면 ‘방조’의 영역이다. ‘몰랐다’면 관리·감독 실패다. 어느 경우든 정치적 책임은 피할 수 없다. 강경한 워딩 몇 줄로 덮일 사안이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