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기후위기비상행동 등 기자회견
“안전하지 않은 원전 심사 강행은 국민 생명 위협”
오는 25일 원안위 앞 집회 예고

2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고리2호기 수명연장 심사 중단 촉구 서명 전달 기자회견'. 사진=기후위기비상행동
2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된 '고리2호기 수명연장 심사 중단 촉구 서명 전달 기자회견'. 사진=기후위기비상행동

[뉴스클레임]

국민 안전을 내세운 시민사회의 거센 요구가 대통령에게로 향했다. 기후위기비상행동, 탈핵부산시민연대, 탈핵시민행동, 종교환경회의 등은 2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고리2호기 수명연장 심사 중단을 촉구했다. 

이와 함께 일주일간 모은 시민 서명 5348명을 대통령실에 전달하며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졸속 심사로 국민을 위험에 빠뜨려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서명운동은 '원전 사고 없이 안전하게 살고 싶다'는 시민들의 절박한 마음에서 시작됐다. 단체들은 "참여 규모를 넘어, 안전한 일상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사회적 염원이 담겼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박상현 탈핵부산시민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은 고리2호기 수명연장 심사 저지를 위한 농성을 이어왔음을 언급하며 “평가 과정에서 이미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대사고 평가 누락, 부실한 절차, 인근 주민 의견 무시 등을 문제로 꼽으면서 “이재명 대통령이 말하는 실용주의는 고리2호기를 시작으로 노후 원전 수명연장을 중단하는 결단에서 구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수홍 탈핵시민행동 집행위원은 원전 운영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직접 안전 부실을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방사선환경영향평가와 주민 의견 수렴이 부실하게 진행됐고, 중대사고 대책도 미비했다는 것이다. 

그는 “수명연장은 경제성조차 없으며,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로막는 기후위기 대응의 걸림돌”이라며 “지금은 낡은 원전을 멈추고 정의로운 전환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고리2호기 심사가 미국에서도 이미 폐기된 1970년대 안전기준에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재훈 사무총장은 “주민 의견 수렴, 원안위 절차에서 법과 원칙이 무너졌다”며 “원안위가 국민 안전보다 사업자 편의를 우선하며 들러리 역할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답을 정해놓고 진행하는 졸속 심사가 아니라 철저히 법과 안전에 입각한 심사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오는 25일 고리2호기 수명연장 관련 안건 심의가 예정된 원자력안전위원회 사무실 앞에서 종일 집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