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8일 오전 10시 원칙”… 윤석열 측 “15일 일정 재요청”
출석 일정 조율 불발시 추가 절차 진행… 강제수사 가능성도 제기

순직 해병 사망 사건 외압 의혹 수사의 정점에 선 윤석열 전 대통령이 특별검사팀과의 출석 일정 협상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순직 해병 사망 사건 외압 의혹 수사의 정점에 선 윤석열 전 대통령이 특별검사팀과의 출석 일정 협상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뉴스클레임]

순직 해병 사망 사건 외압 의혹 수사의 정점에 선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명현 특별검사팀과 출석 일정 협상을 두고 팽팽히 맞서고 있다. 특검팀이 “8일 오전 10시 조사 방침을 변경할 생각 없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은 “15일 출석으로 조율 중”이라며 일정 변경 요청을 공개했다.​

6일 법조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이날 오후 “8일 윤 전 대통령 채상병 특검 출석 관련, 15일로 해당 특검과 조율 중이다”라고 밝혔다. 변호인단은 다른 특검 재판 일정으로 인해 이번 주 출석이 어렵고, 조사를 여러 차례 받는 상황을 피하고자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순직해병 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은 “윤 전 대통령이 요청한 15일은 변호인단 측 주장일 뿐, 우리는 8일 오전 10시 조사 방침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8일에도 불출석할 경우 다시 소환 통보를 하거나 강제 구인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체포영장 청구 가능성에 대해선 “그때 가서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달에도 윤 전 대통령에게 출석을 요구했지만, 변호인단이 재판 일정 충돌을 이유로 불출석 의사를 전달해 무산된 바 있다. 이에 특검은 수사 기한이 오는 28일까지임을 감안해 재소환 일정을 지정하고 언론에 공개했으나, 또다시 일정 조율 문제가 불거진 셈이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2023년 7월 고(故) 채수근 상병 순직 사건 초기 조사 당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에게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한 결과를 보고받은 뒤 격노하며 혐의자 제외를 지시한 외압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채 상병 사건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입건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주호주 대사로 임명해 출국시켜 수사를 방해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달 15일 내란 특검에 자진 출석해 약 8시간 40분 조사를 받았다. 당시 그는 서울구치소 강제 구인 방침이 내려지자 “구치소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며 출석했으며, 지난 8월 김건희 특검 강제 구인 시에는 대치 과정에서 물리적 충돌도 빚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