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국민들과 야권의 조국 민정수석 경질 요구에도 문재인 대통령은 꿈쩍을 하지 않고 있다. 조국 수석 또한 본인의 거취를 표명하지 않고 있다. 문 대통령은 오히려 "조 수석을 굳게 믿는다"라는 워딩을 날렸다. 해외순방 중에 일이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행보와 달리 민심은 정반대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도 40%대로 정권 초기 70%를 넘었지만 지금은 30%나 깎였다. 물론 지지율이야 초반 강세는 당연하다. 하지만 지금은 위태할 정도다. 결국 사람이 문제다. 문 정부이 출범 당시 박근혜 최순실 국정농단을 심판하는 과제도 있었지만, 그 안에는 기본적으로 '사람 사는 세상'이라는 정체성이 있었다.
사람 사는 세상의 문 정부이지만, 정작 오히려 그런 사람들이 문제를 일으켰다. 그것도 청와대 인사가 연일 폭탄처럼 터졌다. 관리 감독을 잘못한 조 수석에게 당연히 화살이 빗발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청와대 민정수석실 특별감찰반 파견 검찰 수사관 비위는 반부패 정책을 표방하는 문 정부에게는 치명적이다.
치명상을 입은 채 해외 순방길에 올랐으니 문 대통령의 심기도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앞서 해외순방 기자회견에서는 "해외 순방 및 외교적인 부분 외에 다른 질문은 받지 않겠다"라고 말해 논란이 된 바 있다. 문 대통령의 속이 그만큼 시끄럽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그러면서 SNS를 통해“정의로운 나라, 국민들의 염원을 꼭 이뤄내겠다고 다시 한번 다짐한다"라며 “믿어 주시기 바란다"라는 글을 게재했다.
다시 한번 기회를 달라는 신호이자, 응원해달라는 호소다. 야권과 일부 국민들에게 문 대통령의 호소는 귓등으로도 들리지 않았다. 공세는 더욱 강해지고 있다. 조 수석을 경질해라는 분위기가 압도적이다.
조 수석을 경질하면 국정 과제 추진에 있어 구멍이 뚫릴 수 있다는 게 문 대통령의 의중이다. 또 국회가 예산 처리 등 시급히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한데, 조 수석을 쟁점화해서 논란을 키우는 것도 급한 불부터 꺼야 하는 국회가 할 일은 아니라는 것이다.
의중은 알겠으나 어물쩍 넘어가서는 안 된다. 버텨서도 답이 없다. 야권도 정치공세를 멈춰야 한다. 급한 불부터 끄는 게 맞다. 자칫 명분을 손에 쥐고서도 정치공세라는 프레임에 야권 스스로 이 기회를 놓칠 수도 있어서다.
조 수석을 경질해서 정책의 호흡이 끊기는 것은 모두에게 손해다. 이미 엎질러진 물이다. 조 수석도 안다. 문 대통령이 당장 조 수석을 경질하지 않더라도 이번 청와대 비위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그로 인해 자연스럽게 새 진영이 짜진다면 그나마 정치적 부담도 덜고 신뢰 회복도 어느 정도는 가능하리라고 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