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와 경찰청 관계자가 3일 열린 제주4.3사건 추념식에 참석해 묵념하고 있다. 사진=김동길 기자
국방부와 경찰청 관계자가 3일 열린 제주4.3사건 추념식에 참석해 묵념하고 있다. 사진=김동길 기자

제주4?3사건 추념식이 제주와 서울 광화문에서 3일 오전11시, 동시에 열렸다. 추념식에서 ‘아버지를 잃은 딸이 아버지께’라는 편지를 읽으면서 추념식장은 눈물바다로 변했다. 나이 지긋한 유족들이 대다수였다. 그들은 조용히 눈물을 훔쳤다. 그리고 당당히 말했다. 이제는 정말 4.3특별법이 하루 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그래서 유족들은 봄은 왔지만, 여전히 겨울이라고 미어지는 가슴을 부여잡고 한없이 울었다.

제주도민들은 지금으로부터 71년 전인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희생당했다. 미군정기에 발생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이르기까지 7년여에 걸쳐 지속된, 한국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 피해가 극심했던 비극적인 사건이다.

제주4?3사건 치욕적인 우리 역사다.

경찰의 발포로 주민 6명이 사망한 3·1사건에 항의해 1947년 3월 10일부터 세계적으로도 유래가 없는 민·관 합동 총파업이 시작됐다. 제주도민의 민·관 총파업에 미국은 제주도를 ‘붉은 섬’으로 지목했다. 본토에서 응원경찰이 대거 파견됐고, 극우청년단체인 서북청년회(서청) 단원들이 속속 제주에 들어와 경찰, 행정기관, 교육기관 등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빨갱이 사냥’을 한다는 구실로 테러를 일삼아 민심을 자극시켰고, 이는 4·3사건 발발의 한 요인이다.

1948년 11월 17일 제주도에 계엄령이 선포됐고, 중산간마을을 초토화시킨 대대적인 강경 진압작전이 전개됐다. 중산간 지대뿐만 아니라 소개령에 의해 해안마을로 내려간 주민들까지 무장대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했다. 폭도라 지목당하는 것만으로도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됐다. 학살은 군경토벌대만 저지른 것은 아니었다. 무장대들은 해안마을을 습격, 경찰가족과 우익인사를 살해했다. 그 와중에 무고한 주민들도 상당수 희생됐다. 복수와 증오심. 복수는 복수를 낳았고 증오는 격한 충돌로 이어져 민간인들의 희생은 극에 달했다.

치욕적인 역사의 일부다. 이런 역사를 부끄러워해서 국방부와 경찰청이 처음으로 제주4?3 사건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다. 제주4.3유족회도 환영의 뜻을 전했다.

하지만 그보다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 바로 4.3특별법 개정안 처리다.

피를 토하는 고통의 세월을 가슴 치며 견뎌내신 4.3희생자와 유족 분들을 위해서라도 4.3특별법 개정안이 하루 빨리 처리돼야 한다. 정치권 거는 기대는 없지만,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