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ENG,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설비’ 완공·실증 단계 돌입…GS건설 첫 해외 물류센터 친환경 인증

현대엔지니어링 이산화탄소자원화 실증설비. 현대엔지니어링 제공
현대엔지니어링 이산화탄소자원화 실증설비. 현대엔지니어링 제공

 

건설사들이 탄소 중립 시대 도래를 앞두고 ESG경영 체계 구축에 나서고 있습니다. 친환경적 공법과 설비를 하지 않으면 도태된다는 점을 인지해서 더욱 ESG를 강화하는 것입니다.

1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이 이날 현대제철 인천 부지에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설비’를 완공하고 실증 단계에 돌입했습니다.

탄소 포집 및 자원화 (CCU,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기술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줄이면서 수소·탄산염 등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현대엔지니어링과 GT사는 현대제철 인천공장에서 이산화탄소(CO2)를 공급받아 GT사의 10kW급 Metal-CO2 System을 통해 수소·전기·탄산염을 생산합니다. 

GT사의 Metal-CO2 특허기술은 이산화탄소(CO2) 처리를 통해 수소와 전기를 생산하고, 화학·의약품·생활용품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다양한 고부가 탄산염을 생산하는 세계 최초의 기술입니다.

이번 설비는 GT사가 기존 1kW급으로 진행했던 연구단계에서 상업화 수준이 가능한 10kW급 규모로 발전시켜 실증화가 진행 중입니다.

10kW급 시스템은 컨테이너 1개 내 Stack들로 구성되며, 하루에 3.2톤의 이산화탄소(CO2)를 투입하면 하루에 수소 72㎏, 탄산염 7.2t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Metal-CO2 System이 주목받는 이유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수소 등이 생산되는 자원화 처리 과정에서 질소·일산화탄소 등 환경오염을 발생하는 배기가스 배출이 전혀 없어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GS건설은 해외에서 추진 중인 사업이 친환경 사업임을 공식 인증 받았습니다. 

이에 국내 건설사 최초로 ‘그린론’ 조달에 성공하며 이날 계약 체결을 완료했습니다.

그린론은 유럽 금융기관들이 친환경 사업을 대상으로 한정해 지원하는 대출로 제 3의 인증기관을 통해 친환경 사업임을 공인 받아야 조달이 가능합니다.

GS건설이 이번에 조달한 그린론은 글로벌 인증기관인 브림(BREEAM)이 폴란드 브로츠와프 물류센터 4곳 중 2곳에 대해 친환경 인증인 ‘엑설런트 등급’을 부여한 것에 따른 것입니다. 

나머지 2개의 물류센터도 등급 판정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GS건설이 BNP파리바은행으로부터 조달한 그린론은 약 7020만 유로(원화기준 약 940억원)입니다. 

GS건설은 GS그룹의 핵심가치인 ‘친환경 경영을 통한 지속가능 성장’의 일환으로 ESG 위원회를 신설해 운영 중이며, 수처리 사업·2차전지 리사이클링 사업·모듈러 사업·국내외 태양광 개발사업 등 다양한 친환경 신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ESG관련 사업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며 “탄소중립시대 도래에 대비해 친환경 신사업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ESG경영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