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통공사 “강도 높은 경영혁신 추진”
대구지하철노조 “안전 팔아 지출 줄이겠다는 것”

사진=대구교통공사
사진=대구교통공사

[뉴스클레임] 대구교통공사가 고강도 경영 혁신 전략을 내놓은 데 대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대구지하철노동조합(이하 대구지하철노조)이 “인력 감축은 경영혁신이 아닌 공공성과 열차안전을 포기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구지하철노조는 14일 성명을 내고 “대구교통공사는 임직원들의 뼈를 깎는 ‘경영혁신’이라고 말하지만, 이는 재정 절감에만 눈이 멀어 공공교통의 최우선 가치인 사회공공성과 열차안전은 포기하겠다는 선언이다”라고 주장했다.

앞서 김기혁 대구교통공사 사장은 전날 대구시청 동인동청사 브리핑룸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조직개편을 통해 인건비와 경상경비를 최대한 줄이는 등 내년 200억원의 예산을 절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간부급 관리자 10% 이상 감축, 유사기능 통합 등으로 57명, 3호선 운행 관리요원 102명 가운데 1차로 51명을 줄여 모두 108명의 인력을 확보해 1호선 하양 연장선 소요 인력으로 투입해 신규 인력 충원을 억제한다. 나머지 51명은 용역 전환을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 월배·안심차량기지 통합 등으로 발생되는 여유 인력 확보 방안을 검토한다. 내년에는 경비 절감 등 긴축 운영으로 160억원, 3호선 운행관리원 용역 전환 등으로 40억원 등 긴축예산 운영과 조직 효율화로 예산을 절감할 계획이다.

대구지하철노조는 3호선 은행관리원을 용역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당하는 핵심 업무마저 민영화하겠다는 것은 안전을 팔아 지출을 줄이겠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중장기적으로 1호선 신차 구매 시 무인운전시스템을 적용하겠다는 공사에 계획에 대해서는 “업무의 특성이나 직종을 가리지 않고 전방위적으로 민영화·구조조정을 전개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공사의 계획대로 공공의 영역이 담당해왔던 분야를 민간의 영역으로 전환한다면 대구의 공공교통은 껍데기만 남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공사가 민영화·구조조정으로 사회공공성과 열차의 안전을 포기하려 한다면, 노조의 투쟁을 넘어서야 할 것이다. 사회공공성과 열차 안전은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