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회의, 오는 31일 학교비정규직 신학기 총파업 돌입 선포

2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연대회의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 사진=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
2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열린 '연대회의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 사진=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

[뉴스클레임]

오는 31일 총파업 돌입을 예고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가 정부에 비정규직 임금 체계 개편을 요구했다.

연대회의는 2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들은 그 어떠한 비정규직 차별도 거부할 것이다. 이에 제대로 응답하지 않으면 오는 31일 전국적인 총파업 투쟁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은 전국 시도교육청에서 지부별로 동시 진행됐다.

연대회의는 "7개월 장기간의 교섭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학교비정규직 집단임금교섭은 타결이 아니라 총파업으로 가고 있다. 과연 이는 누구의 책임인가"라고 물으며 ▲노사협의체 구성 통한 임금체계 개선 ▲복리후생수당 동일 기준 적용 ▲학교급식실 안전대책 마련 등을 정부와 교육당국에 촉구했다.

지난 15일 교육부가 제시한 학교 급식실 조리환경 개선방안에 대해선 "급식실의 폐암 산재 및 높은 노동강도로 인한 급식실 종사자들의 조기 퇴사, 신규 채용 미달 등의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학교비정규직의 역할과 업무의 중요도는 높아지고 있는데 정부는 언제까지 임기응변식의 대책만 내놓을 것인가. 중장기적으로 급식실 배치기준을 하향 표준화하고 환기시설 개선 등 급식실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이윤희 본부장은 "7개월 가까이 진행한 교섭이 풀리지 못하고 결국 2차 파업이 코앞이다. 용산에 왔으니 대통령에게 묻는다. 18만 학교비정규직의 파업에 대한 대통령의 생각은 무엇인가"라고 되물었다.

그는 "올해는 교육당국과 학교비정규직이 임금체계 개편 협의체를 구성해 허심탄회하게 대화하는 한 해가 되길 촉구한다. 또 해를 넘겨 교섭 중인 2022년 임금인상은 실질임금 삭감 없이 노동시장 격차 해소를 위한 인상 수준을 제시하길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오는 31일 총파업 이후에도 두 가지 쟁점에 대해 결단하지 않으면 17개 시도교육청의 쟁의는 초장기 국면으로 들어서고 3차, 4차 파업이라는 사태로 빠져들 수도 있다. 차별과 격차 해소를 위해 제대로 인상하고 그에 맞는 역할과 노력을 통해 교직원 사회 모두가 능동적인 교육주체로 어우러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