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환자단체 공동 범국민서명운동 시작
"의사들, 국민생명 지키면서 진정한 의료개혁에 나서야"

지난 7일 오전 보건의료노조 희망터에서 개최한 '보건의료노조 22대 총선 정책과제 발표 기자회견'. 사진=보건의료노조
지난 7일 오전 보건의료노조 희망터에서 개최한 '보건의료노조 22대 총선 정책과제 발표 기자회견'. 사진=보건의료노조

[뉴스클레임]

지난달 20일 시작된 의사들의 진료거부 사태가 길어지고 있다. 수술환자와 응급환자, 중증환자들이 제대로 치료받지 못해 생명을 위협받고 있지만 의사단체와 정부의 강대강 극한대치로 진료파행 사태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이다.

이에 보건의료노조와 환자단체가 의사들의 진료거부 사태를 해결하고 하루빨리 진료를 정상화하기 위해 범국민서명운동에 나선다.

보건의료노조, 한국중증질환자연합회는 11일부터 내달 10일까지 100만명을 목표로 범국민서명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온라인 서명운동은 '의사들의 진료거부 중단,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촉구합니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다. 오프라인 서명운동은 지하철역, 기차역, 버스터미널 등에서 진행한다.

이들은 "환자와 국민에게 아무런 신뢰와 희망도 주지 못하는 의사단체와 정부의 모습에 국민들은 절망하고 있다. 어느 한 쪽이 어느 한 쪽을 굴복시키겠다는 치킨게임은 환자와 국민들의 고통과 희생을 담보로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부를 향해선 "신뢰받을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모든 정치력을 발휘해 국민들의 절대적인 관심과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조속한 진료 정상화 해법을 제시하고, 필수의료·지역의료·공공의료를 살리기 위한 실질적인 대화 자리를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보건의료노조 등은 "결국 국민들이 직접 움질이는 수밖에 없다. 진료거부를 멈추고 환자 곁으로 돌아와 진료 정상화에 협력할 것과 정부가 필수의료·지역의료·공공의료 위기 해결을 위한 사회적 대화기구를 마련할 것을 촉구하는 국민들의 목소리를 담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국민서명운동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단체와 정부에 조속한 진료 정상화와 사회적 대화를 촉구하는 국민들의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기자회견, 의사단체 항의방문, 간담회, 범국민 서명지 전달 등 실천행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