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 요구 및 향후 계획 발표
대책위, 민관합동 사고조살위원회 구성 등 촉구

2일 오전 화성시청 합동분향소 앞에서 열린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 요구 및 향후 계획 발표 기자회견'
2일 오전 화성시청 합동분향소 앞에서 열린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 요구 및 향후 계획 발표 기자회견'

[뉴스클레임]

경기 화성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 사고의 유가족들이 피해자 권리 보장 및 진상규명 등을 촉구했다.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2일 오전 화성시청에 마련된 추모분향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아리셀 참사와 관련해 앞으로의 활동 계획을 발표했다.

대책위는 "아리셀 대표가 나와야 하는데 안 나오고 있다. 사과하겠다며 유가족 개개인별로 접촉해 정리하려고 하는데 진정성 있는 얘기를 가지고 나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대책위의 향후 계획와 요구안도 전달했다.

피해자 권리보장 요구안에는 ▲피해자 위한 고용노동부 재해조사 의견서 및 경찰 수사정보 제공 ▲에스코넥, 아리셀 진정성 있는 사과 및 보상 ▲경기도·화성시 안전대책 마련 ▲사업장 안전 확보 위한 '실직적인 위험성 평가 법제도 개선' ▲1·2차 전지 사업장 전수조사 및 하도급 금지 ▲아리셀에 인력 파견한 하청업체 '메이셀' 불법 직업소개 철저한 조사 ▲민관합동 사고조살위원회 구성 등이 있다.

우다야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은 발언을 통해 "여러 산업현장에 이주노동자들 없이는 흘러갈 수 없다. 하지만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안전하지 못한 곳에서 일하는 불안감이 있다. 더 이상 이런 요구가 없는 사회가 오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고(故) 김용군씨의 어머니 김미숙씨는 "OECD 가입국 중 산업사고 1위로 우리가 어찌 선진국인지 이해가 안 된다"며 "5년 전 아들을 잃었는데 바뀐 것이 없다. 연대로 마음을 함께 하며 진상규명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