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뉴스클레임]

시민사회단체와 야당이 거부권을 남발하는 윤석열 정권을 향해 규탄의 목소리를 냈다.

전국비상행동과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진보당·기본소득당·사회민주당·새로운미래 등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또 국민을 무시하는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이들은 "전날 윤석열 대통령이 채 상병 특검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다. 벌써 15번째 거부권 행사이고, 22대 국회 들어 첫 번째 거부권 행사"라며 "거부권을 남발하는 윤석열 대통령이야말로 헌법 위반의 임계치를 넘어서고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고 말했다.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또 "윤석열 정부와 여당은 ‘위헌’ 운운하며 채 상병 특검법 거부권 행사가 정당하다 강변하고 있다. 국회 의사 일정 전체를 비롯해 채 상병 특검법 논의 자체를 보이콧한 것은 여당인 국민의힘이다"라며 "대통령실은 더 이상 ‘위헌’이라는 말로 국회의 권한을 침해하지 말라"고 밝혔다.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거부 강력 규탄, 민생개혁입법 즉각 수용,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 사진=김동길 기자

이들은 "억울하고도 애통한 한 군인의 죽음에 대해 시민들이 그 이유를 묻고 있는지 1년이 다 돼간다. 더 이상 채 상병 사망사건과 외압의혹의 진상규명이 지연돼서는 안 된다. 국회는 채 상병 특검법을 재의결해야 한다. 국민의힘 또한 대통령이 아닌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시민의 목소리를 듣고 채 상병 특검법 도입에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