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대식 객원위원
사진=김대식 객원위원

[뉴스클레임]

삼겹을 구울 때 김치보다는 파절이를 한 수 위로 본다. 고혈압에 조금 신경을 쓰다 보니 파를 의도적으로 찾는 편이기도 하다. 

중림동 한국경제신문 건너편에 파절이삼겹살은 냉동 대패 삼겹살에 파절이가 양푼이 통째로 들어간다. 두께가 얇아 동그랗게 말린 냉동 삼겹을 불판에 수북하게 올리고 나니 모습이 장관이다. 

노릇하게 고기가 익어갈 때쯤 주인공인 파절이가 투하되는데 이모님의 손놀림이 예사롭지 않다. 

하얀 연기 사이로 파절이와 삼겹을 비비고 볶고 가른 뒤 가벼운 누르기를 마치면 한판이 완성된다. 

살짝만 익혀도 되는 고기와 달큰한 파절이가 부드럽게 입안에 스며든다. 간이 적당히 밴 고기는 파향 덕분에 다채로워진다.

이어지는 매운 쭈꾸미 볶음도 달달함과 매콤함의 밸런스가 좋다. 

조개탕으로 개운한 마무리를 할 수가 있고 양이 부족하면 밥을 볶을 수도 있다. 

반찬으로 나온 김치도 아주 먹음직스러웠다.

사진=김대식 객원위원
사진=김대식 객원위원
사진=김대식 객원위원
사진=김대식 객원위원
사진=김대식 객원위원
사진=김대식 객원위원
사진=김대식 객원위원
사진=김대식 객원위원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