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이주 노동자 사망사건 책임자 구속 수사 촉구
"이주노동자 노동환경 실태조사 함께 이뤄져야"

[뉴스클레임]
지난달 발생한 네팔 이주 노동자 사망사건과 관련, 이주노동자 단체 등이 책임자를 구속수사하고 괴롭힘 사건을 철저하게 수사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금속노조광주전남지부, 금속노조전남조선하청지회, 이주노동자노동조합, 전남이주노동자인권네트워크 등은 11일 오전 노동부 목포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주노동자의 사망사건 특수성으로, 이 사망사건이 유야무야 묻히게 해선 안 된다. 행정당국의 철저한 조사와 보다 강력한 수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금속노조 등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새벽 28세 네팔 출신 이주노동자가 폭언, 폭행, 괴롭힘 등에 힘겨워하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망사건이 발생했다. 고인은 지난 1일 네팔로 옮겨졌고, 현재 영암경찰서와 노동부 목포지청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단체들은 "지나 12일 노동부 목포지청이 사건이 발생한 돼지축사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한다. 늦은 감이 있지만, 압수수색을 통해 그동안 사업주와 팀장의 가혹행위가 밝혀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고인과 함께 일했던 노동자 수십 명은 본인들도 폭행, 폭언, 괴룁힘을 당했다고 증언하고 있다. 이미 노동부의 조사가 이뤄져 사실로 밝혀진 상황"이라며 "이주노동자들 전원에 대한 보다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유사 사례 방지를 위해 농어업, 축산 부분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무엇보다 전라남도를 비롯해 지자체가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지자체가 마련한 독자적인 대책은 분명한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임기응변적인 처방을 반복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지역에서 이주민과 이주노동자의 인권과 건강을 위해 교육과 상담을 진행해 온 이주민지원단체와 협업해야 한다. 수년 동안 쌓인 이주민지원단체의 역량과 네트워크를 통해 이주노동자 인권 교육강사단 육성, 쉼터 등의 중장기적이고 계획적인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 양대노총 "연금폭거 자행한 거대양당 규탄"
- 국힘 "강남 반지하 고독사, 사회 구조적 문제"
- [클레임톡] 내로남불 트럼프
- 감금·폭행에 라이브 방송까지, 무서운 가출 10대… "인격 모독"
- 시민사회 "인종차별철폐 의무 저버린 인권위 파행 규탄"
- [오, 여행] 이천리 해파랑길 강릉에서 양양의 젊은 해변으로 들어가는 길
- 조현준 효성 회장, 그린경영 행보 지속
- MG캐피탈, 신임 대표이사 김병국 선임
- 비상행동 "기어코 100일… 27일 尹 파면 촉구 ‘시민총파업’ 전개"
-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대형마트 휴무일, 장보기 가능?
- 로또 1163회 당첨번호 조회… 자동 10명·수동 4명, 당첨금 얼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