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비서실 출신 대통령기록관장 임명 반대
"한덕수, 대통령기록관장 임명절차 중단해야"

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진행된 '윤석열 비서실 출신 대통령기록관장 임명 반대 기자회견'. 사진=내란청산·사회대개혁 비상행동
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진행된 '윤석열 비서실 출신 대통령기록관장 임명 반대 기자회견'. 사진=내란청산·사회대개혁 비상행동

[뉴스클레임]

윤석열의 파면 이후 대통령기록물 이관이 진행되는 가운데, 대통령기록관장 최종 후보 중 한 명이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출신으로 확인돼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기록관리단체협의회, 군인권센터 등은 9일 오전 정부서울종합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덕수 권한대행이 대통령기록관장 최종합격자 2명 중 1명을 임명하는 절차만 남아있는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 출신 인사의 대통령기록관장 임명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해당 후보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청와대 행정관으로서 대통령기록물 이관 작업을 도맡았다. 이 과정에서 국정농단 관련 기록들을 대통령기록관에 봉인시켜 증거를 은폐한다는 지적이 제기된 자"라며 "이명박 전 대통령 소유 영포빌딩에서 발견된 청와대 문서 상자 17개 유출 사건에 연루된 의혹도 있으며, 이 후보자는 해당 대통령기록유출 건으로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로부터 대통령기록물 유출 혐의로 고발된 바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기록물은 비상계엄 관련 기록뿐 아니라 대통령실 용산 이전, 부정·특혜 채용, 이태원 참사, 해병대 수사 외압 사건, 명태균 게이트, 대왕고래 프로젝트 등 각종 의혹에 대한 기록도 포함된다"며 "민주주의 회복과 내란청산, 비리 수사 및 진상규명이 진행돼야 하는 현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의 실무담당자였던 인사가 대통령기록관장으로 임명될 경우, 중요 국가 기록물의 온전한 보존과 관리와 시민의 알권리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미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 문건, 박근혜 정부의 세월호 7시간 행적 관련 기록이 제대로 보존·관리되지 않아 시민의 알 권리가 심각하게 침해된 사례를 경험했다. 이러한 사태가 윤석열 정부 기록물에서도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대통령기록관장 임명절차를 즉시 중단하고 ▲윤석열 비서실 출신 대통령기록관장 후보자는 스스로 사퇴하고 ▲국회는 대통령기록물법 개정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의 주요 의혹에 관한 대통령기록물은 온전히 보존되고 적절히 관리돼야 한다. 특히 헌정질서를 위협한 비상계엄 문건을 비롯해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대통령실 용산 이전, 부정·특혜 채용, 이태원 참사 등 중대한 범죄 의혹과 관련된 기록물은 시민의 알 권리 차원에서 보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