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6일·19일 총파업 선언
"노조법 2·3조 개정, 노동존중 국정기조로 전환하라"

사진=민주노총
사진=민주노총

[뉴스클레임]

민주노총이 노조법 2·3조의 즉각 개정과 윤석열 정부의 반노동정책 전면 폐기를 요구하며 총파업을 선포했다.

민주노총은 2일 오전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16일과 19일 총파업에 본격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16일에는 서울 세종대로를 비롯해 전국에서 총파업대회를 개최하고, 19일엔 서울 숭례문 앞에서 총파업·총력투쟁 결의대회 후 행진할 예정이다.

민주노총은 "‘노동개혁’을 명분으로 노동자, 시민의 권리를 억압하고 탄압으로 일관했던 윤석열 정권이 내란으로 몰락했다. 그러나 내란수사는 지지부진한 채 진실은 밝혀지지 않고 내란 세력은 단죄되지 않고 있다"며 "내란수괴 윤석열을 즉각 구속하고 내란과 외환에 대한 전면적인 수사와 엄정한 단죄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정부를 향해서는 "윤석열 정부의 노동탄압 정책을 중단하고 노동존중 국정기조로 전환해야 한다. 노조법 2·3조를 즉각 개정해야 하고, 노동시장의 불평등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노동기본권 확대강화를 현실화해야 한다.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에 대한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과 산업재해를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현장노동자의 작업중지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배제와 탄압으로 일관했던 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을 폐기하고 노동계와 실질적인 대화와 교섭에 나서야 한다. 노정 교섭을 통해 산적한 노동·사회 현안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민주노총 양경수 위원장은 "다시 투쟁에 나선다. 이재명 정부에게 내란 세력과 손잡지 말고, 광장의 뜻을 잊지 말라는 투쟁이다. 광장을 지켰던 노동자 시민의 외침을 실현하라는 투쟁"이라고 발언했다.

양겅수 위원장은 "전날 진행된 최저임금 협상에서 사용들은 3차 제시안으로 80원 인상을 제시했다. 스위스에 이어 두 번째로 생활물가가 높은 나라로 지목된 우리 사회 노동자들의 현실은 처참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민생지원금보다 더 확실한 민생회복의 대책은 최저임금의 대폭인상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윤석열을 몰아냈으니 이제 세상도 바뀌어야 한다는 상식적이고 당연한 요구"라며 "광장의 선두에서 길을 열어낸 민주노총은 광장의 약속을 지킬 것이다. 노동자 시민이 함께 나서면 대통령이든 그 무엇이든 바꿀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