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촉구' 공동 기자회견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 노조 지난 25일부터 파업 돌입
대전충남지역본부 "대전시, 노동자 문제 해결에 나서야"

[뉴스클레임]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 대전충남지역본부가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 파업 사태를 대전시가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 대전충남지역본부, 더불어민주당 대전 동구 장철민 의원은 30일 오전 대전광역시청 앞에서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촉구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을 비롯한 보건의료 노동자 파업 사태, 대전시는 직무유기를 멈추고 해결에 나서라"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대전충남지역본부 소속 지부장과 전임간부들, 파업중인 조합원들이 함께 참석했다.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 노조는 열악한 임금 체계 등을 이유로 지난 25일부터 파업에 돌입했다.
대전충남지역본부는 "대전에서만 보건의료노조 노사교섭이 이뤄지지 않아 보건의료 노동자들의 파업이 진행되고 있다"며 어린이병원이 갖는 사회적 역할을 인식하지 못한 이장우 시장에게 책임이 있다고 꼬집었다.
특히 "대전시는 개원 이래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임금체계를 만들어달라는 노조의 요구를 회피하며 공공병원에서의 저임금 노동 구조를 관철시키고 있다. 대전시가 예산을 투입해 설립한 공공병원에 숙련된 보건의료 인력이 투입되는 것을 스스로 거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어린이재활병원에 적자가 있어서 처우 개선을 못한다는 게 말이 되는가"라며 "애초에 적자를 감수하고 공익적 목적으로 지은 병원이다. 수가가 낮아 적자가 불가피한 소아재활 영역만을 도맡은 어린이병원의 특성상, 예약율이 100%에 육박하더라도 흑자를 보기 어려운 것이 상식에 부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전시는 기본적인 책무를 다하고 중앙정부와 협의해 공공의료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환아, 환아가족, 종사자 등 대전시민 모두의 권리가 존중받을 수 있는 기반을 책임 있게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지금 직무유기를 멈추고 파업으로 내몰았던 노동자들의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