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임단협투쟁 승리, 건설현장 4대악 근절' 전국동시다발 기자회견
건설노조 "건설현장 올바르게 세우기 위한 투쟁에 나설 것"

[뉴스클레임]
건설노동자의 절반 이상이 여전히 산재사망으로 목숨을 잃는 현실을 바꾸겠다며,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이하 건설노조)이 ‘임단협 투쟁 승리’와 ‘건설현장 4대 악 근절’을 위한 전면 투쟁에 돌입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고사망자는 137명으로, 이 가운데 건설업 사망자만 71명(51%)이다. 지난해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 827명 중 건설업은 328명으로 40%에 달했다. 최근 포스코이앤씨 공사장에서 발생한 사고까지 포함하면 수치는 더 늘어난다.
1일 서울을 비롯해 경기, 인천, 강원, 대전, 대구 등에서 '임단협투쟁 승리, 건설현장 4대악 근절 전국동시다발 기자회견'을 연 건설노조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3년이 지났지만 사고를 줄이기 위한 실효적 대책은 여전히 부재하다”며 법·제도의 유명무실함을 지적했다.
노조는 이번 투쟁의 핵심 의제를 ‘건설현장 4대 악’으로 규정했다. 이들은 “다단계 불법하도급 구조에서 불법고용과 임금체불이 파생되고, 결국 중대재해로 이어진다”며 “이 불법 구조를 깨지 않고는 산재사망을 줄일 수 없다”고 밝혔다.
또한 윤석열 정부 시절을 겨냥하며 “정부가 사업주의 책임은 방치하고 오히려 규제를 완화해 현장을 무법지대로 만들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건설노조는 이번 임단협 투쟁은 단순히 임금 문제가 아니라 고용안정, 안전한 노동환경, 투명한 계약 구조와 직결된 투쟁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지난 10여년 단체협약 투쟁으로 만들어온 변화가 최근 몇 년간 크게 훼손됐다”며 “이번 교섭에서 반드시 임단협을 쟁취해 현장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가 최근 산재사망 대책 마련 의지를 반복해 밝힌 것에 대해서도 “말로만은 충분하지 않다”면서 “산업재해 근절을 위해 대통령이 직접 나선 만큼 이번에는 실질적 대책과 이행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