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자주 혼동하는 단어 중 하나인 '멋쩍다'와 '멋적다' 중 올바른 표현은 '멋쩍다'이다. 뉴스클레임DB
사람들이 자주 혼동하는 단어 중 하나인 '멋쩍다'와 '멋적다' 중 올바른 표현은 '멋쩍다'이다. 뉴스클레임DB

[뉴스클레임]

‘멋쩍다’와 ‘멋적다’는 사람들이 자주 혼동하는 단어다. 결론적으로 ‘멋쩍다’가 올바른 표준어이고 ‘멋적다’는 잘못된 표현이다. 

‘멋쩍다’는 형용사로, '하는 짓이나 모양이 격에 어울리지 않다' 혹은 '어색하고 쑥스럽다'는 뜻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예상하지 못한 칭찬을 받아 당황스러워하며 얼굴을 붉힐 때 '멋쩍은 표정을 지었다'라고 쓸 수 있다. 

또한 어떤 상황에서 자신의 처지가 어딘가 부자연스러워 곤란함을 느낄 때도 ‘멋쩍다’를 사용한다. 즉, 격식이나 분위기에 맞지 않는 자신의 행동이나 태도를 표현할 때 적합하다.

‘멋적다’는 ‘멋쩍다’를 잘못 표기한 비표준어로 분류된다. 한국어 맞춤법과 표준국어대사전은 ‘적다(少)’라는 한자가 들어가더라도 발음상 ‘쩍’으로 나는 경우는 ‘쩍’으로 써야 한다고 명확히 규정한다. 

따라서 ‘멋적다’는 과거에 쓰이던 비표준형일 뿐이며, 현재에는 공식 문서나 교육 자료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쩍다’는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로 ‘어떤 성질이나 특징을 나타내는 데가 있음’을 뜻한다. ‘멋쩍다’ 말고도 ‘겸연쩍다’, ‘객쩍다’ 같은 단어가 이에 해당한다.

요약하자면, ‘멋쩍다’는 한국어에서 인정받는 표준어로서 의사 소통에 적합한 단어다. 반면 ‘멋적다’는 쓰지 않는 것이 맞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