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 1만9000명 노출, 5561명 개인정보 유출
시민사회 "유심·단말 교체, 개별문자 고지 등 실질 대책 필요”

11일 오전 KT 광화문 빌딩 앞에서 열린 '이동사 해킹 사태 해결 촉구 소비자 시민단체 공동기자회견'. 사진=박명규 기자
11일 오전 KT 광화문 빌딩 앞에서 열린 '이동사 해킹 사태 해결 촉구 소비자 시민단체 공동기자회견'. 사진=박명규 기자

[뉴스클레임]

KT 통신망의 허술한 보안과 안일한 대응에 시민단체들이 전면적인 피해 조사와 즉각적인 개인정보 보호 대책을 촉구했다.

민생경제연구소, 서울YMCA 시민중계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KT새노동조합, 한국소비자연맹 등은 15일 오전 KT 광화문 빌딩 앞에서 KT를 상대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및 소액결제 사태에 책임을 묻는 공동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 단체는 이번 사태에 대해 “KT 전 가입자 및 KT망 이용 알뜰폰 사용자 대상 유심 교체가 필요하다. IMSI, 키값 등 핵심 데이터 유출 피해를 막기 위해 선제적 조치가 시급하다”라고 요구했다. 

이어 “소액결제 피해자 단말 교체와 전체 가입자 단말 보안 강화를 즉시 시행해야 하며, 모든 가입자에게 개별 문자를 통해 피해 가능성·확인 방법·차단 절차·신고 요령을 안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경영진을 포함한 책임자 문책, 피해신고센터 운영, 안내 및 접수 시스템 강화, 통신보안과 공공성 저하시키는 외주화 중단, 집단소송법·징벌손배제·증거개시제도 도입, 피해 구제와 실질적 보상 확대”를 요구하며 정부와 국회의 강력한 조치를 촉구했다.

이날 발언에 나선 한석현 서울YMCA 시민중계실장은 “경기 광명·서울 금천 등지에서 KT 가입자의 소액결제 피해가 연속 발생했지만, KT는 이용자들에게 신속히 피해 사실을 통지하지 않고 늑장 대응으로 일관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피해자는 개인정보가 악용되거나 추가 손해를 입을 위험에 그대로 노출됐고, KT의 피해 확인 페이지조차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밝혔다.

김미영 KT새노동조합 위원장은 반복되는 이통사 해킹 사태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이야기했다. 

그는 "소액결제 해킹의 주된 원인은 15만 개 이상 설치된 펨토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통화품질 개선을 위한 투자는 외면한 채 비용절감에만 치중했고, 네트워크 관리·고도화에 필요한 숙련 인력도 현장에서 사라졌다. 통신 공공성이 약화되며 해킹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영섭 대표는 소액결제 해킹 사건의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고 앞으로 이런 사태가 재발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통신 공공성의 후퇴를 막고 제대로 된 AI 시대를 만들기 위해 통신 네트웍과 노동자들을 비용으로만 볼게 아니라 통신 기본에 충실할 현실적인 방안을 함께 고민해 나가길 제안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