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원 1748명… 서울 12%·인천 13%·제주 10%·세종 9%
6개월 내 퇴사 22%, 자발적 퇴직 60%
“학교 규모별 인력 기준 재정비, 처우 개선 절실”

[뉴스클레임]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일하는 조리실무사 박정숙 씨는 오늘도 동료 없이 100명이 넘는 학생 밥상을 홀로 준비한다. 그는 "작년부터 인력 충원을 학교에 여러 번 요청했지만, 올해엔 단 한 명도 새로 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식판 준비도 혼자서 해야 하니 손목이 부을 때가 많고, 병원에 다녀와도 바로 다음날 출근할 수밖에 없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경기지역의 한 중학교에서 근무하는 조리실무사 정혜진 씨도 “1인분 일이 아니라 3인분을 버티는 게 일상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인력이 부족한 날엔 급식이 늦어져 학생·교사·학부모 모두 불만이 폭주한다. 음식 종류도 가짓수가 줄고, 반찬에 손이 덜 가게 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1년 동안 1만7000명 넘는 급식실 노동자 중 60% 이상이 자발적으로 퇴직했다. 입사 6개월 이내 그만둔 이도 전체의 22%에 달하면서, 인력난은 갈수록 심화하는 추세다.
인력 부족의 직접적 피해는 학생과 학부모에게도 이어진다. 학부모 김소연 씨는 “아이에게서 식판이 늦게 나온다거나 반찬 수가 줄었다는 푸념을 듣는다”며 “급식실에 인원 추가 요청을 여러 번 넣었지만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서울 강서구의 한 초등학생은 “밥 주는 선생님 얼굴이 힘들어 보여요. 반찬 종류도 줄고, 점심시간이 훨씬 늦어졌다”고 말했다.
현장에서는 방학 중 무급, 최저임금에 가까운 처우, 반복되는 근골격계 질환, 대체 인력 없이는 하루도 버티기 힘든 실태가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기준 전국 조리실무사 결원은 1748명, 서울은 12%, 인천 13%, 제주 10%, 세종 9% 등 수도권과 지방 모두 결원 현상이 심각하다.
노조, 전문가들은 조리실무사 배치 기준을 다시 세분화하고 학교 규모에 맞는 인력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방학 중 임금이 제대로 보장될 때야만 인력 유지가 가능하다는 현실적 목소리도 크다. 현장의 현안이 반복되는 만큼, 정규직화 확대와 더불어 물리적 환경(환기, 설비, 장비) 개선, 휴게 및 대체 인력 충원 또한 빠질 수 없는 요구다.
전문가들은 “조리종사자가 한꺼번에 많은 학생 급식을, 적은 인원으로 떠맡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급식 자체의 지속가능성, 학생과 노동자의 건강 모두가 위협받는다”고 진단했다. 현장 관계자들은 “결국 급식실이 사람이 남지 않는다면 아이들 건강도, 밥상도 모두 불안할 수밖에 없다”며 실효성 있는 정부·교육당국의 인력 기준 재정비와 환경 개선, 근무 안정장치 마련을 거듭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