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전국공항노동자연대 기자간담회 개최
“6명 숨지고 3명 쓰러져도 달라진 것 없어”… 합의 이행 촉구

[뉴스클레임]
공항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이 위태로운 현실 속에서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공공운수노조와 인천공항지역지부, 전국공항노동조합은 5일 오전 민주노총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공항 파업 장기화의 원인은 정부와 공사의 책임 회피”라고 주장했다.
이날 인천공항지역지부는 “모회사인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007년부터 4조2교대를 시행하면서 자회사만 3조2교대를 유지하고 있어 산업재해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부는 “자회사 교대제 전환은 공항공사 재정 악화와 무관하며, 공사는 올해 상반기 매출 1조3469억 원을 기록했다”고 반박했다. 이어 “노사는 임금 삭감 없이 교대제 전환이 가능한 운영안을 이미 마련했다”며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정책을 거스르는 민간위탁 방안은 노·노 갈등을 유발한다”고 지적했다.
전국공항노조는 “자회사 전환 뒤 보안검색 등 주요 직군의 이직률이 16.8%에 달한다”며 “낙찰률 임의 적용과 결원정산제가 저임금 구조의 근본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2023년 한국공항공사 합의사항을 즉각 이행하고, 2025년 합의된 낙찰률 100% 적용안을 계약 설계에 반영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강성규 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은 “공항 노동자들의 안전 대책이 이행되지 않고, 책임 주체들이 결정을 미루는 사이 공공기관의 안전과 신뢰가 시험대에 올랐다”고 발언했다.
그는 “4조2교대 전환과 공정한 계약 구조는 이미 합의된 방향이었지만, 약속이 미뤄졌고 정부의 감독 또한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며 “올해만 6명이 숨지고 3명이 쓰러졌다”고 발혔다. 이어 “지금 필요한 것은 새로운 논의가 아니라 약속의 이행과 공공의 책임을 위한 결단”이라고 강조했다.
주진호 인천공항지역지부 수석부지부장은 단식 10일째에 접어든 정안석 지부장을 대신해 “2020년과 2022년, 인천공항공사와 3개 자회사는 장시간 노동 해소를 위한 ‘임금 저하 없는 4조2교대 전환’, ‘필수인력 충원’, ‘노동자 건강권 보장’, ‘복리후생 개선’을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 합의는 단순한 약속이 아니라 노동자의 생명과 공항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사회적 합의였다. 그러나 공항공사는 자회사 노동자에 대한 합의 이행을 수년간 미루고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주 수석부지부장은 “그사이 과로와 인력 부족, 불합리한 교대제 속에서 인천공항에서만 6명이 사망하고 4명이 뇌심혈관계질환으로 진단받았다”며 "이번 간담회를 통해 공항파업 장기화를 초래한 원인과 정부관계부처의 책임이 명확히 짚어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