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3일 '과로사 없는 택배만들기 시민대행진' 개최

20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1123 과로사 없는 택배 만들기 시민대행진 선포 기자회견'. 사진=참여연대
20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1123 과로사 없는 택배 만들기 시민대행진 선포 기자회견'. 사진=참여연대

[뉴스클레임]

새벽배송의 그늘에서 또 한 명의 택배노동자가 숨졌다. ‘속도보다 생명’을 외친 소비자, 시민, 종교인, 중소상인, 노동자, 농민 등이 택배 과로사를 멈추겠다며 광화문에 모였다.

‘과로사 없는 택배 만들기 시민대행진 기획단’(이하 기획단)은 20일 오전 광화문광장 북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123 과로사 없는 택배 시민대행진’ 개최를 공식 선포했다. 

기획단은 “소비자, 노동자, 시민사회가 함께 과로사 없는 택배를 만들기 위한 사회적 합의를 촉구한다. 국회에서 진행 중인 3차 사회적 대화에 택배사들이 구체적인 대책에 합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사회적 논쟁이 된 새벽배송 최소화와 관련해 기획단은 ▲새벽배송이 불필요한 상품의 주간배송 전환 ▲분류작업·프레쉬백 회수 인원 별도 고용 ▲3회전 배송 중단 등으로 초심야노동을 줄이면서도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11월 2주차 전국 지표조사에서 ‘소비자 편익을 위해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49%, ‘노동자 안전을 위해 제한해야 한다’는 응답이 45%로 비슷했다”며 “사회적 논의와 합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기획단은 택배노동자 과로방지 3차 사회적 합의를 촉구하는 ‘1000인 선언운동’ 참여 현황도 공개했다. 지난 7일부터 시작된 선언에는 소비자·노동자·시민사회·정당 등 각계 대표자 1310명이 참여해 “과도한 속도경쟁 반대와 노동자의 건강권·휴식권 보장”을 요구하고 “정부와 국회가 속도보다 생명을 중시하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새벽배송 찬성과 반대라는 이분법적인 프레임을 거부한다. 생명을 건 사회적 합의는 있을 수 없고, 누군가의 죽음을 담보로 한 서비스는 지속불가능하기 때문"이라며 "과로사 없는 택배를 만들기 위해, 소비자와 시민사회, 종교계, 노동자, 농민, 중소상인, 정당이 한 자리에 모일 것"이라고 밝혔다.

‘과로사 없는 택배 시민대행진’은 오는 23일 오후 광화문 동십자각에서 열릴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