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전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해저터널 건설 예정대로 추진
최경숙 활동가 “민관합동기구 설치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류 대응해야”
“20대 대선후보들에게 묻고 싶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류에 대한 의견이 어떠합니까. 또 실질적으로 어떤 대책을 세우고 공약을 발표할 것입니까.”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방사성 오염수를 해저터널을 통해 방류하려는 도쿄전력이 터널 건설 예정지의 지반 강도에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내 시민단체들이 한국 정부의 안일한 대응을 비판하며 20대 대선후보들에게 대책 발표를 강하게 촉구했다.
일본 방사성 오염수 방류 저지 공동행동은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운동연합 마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대사에게 항의, 정부 입장의 항의서한 전달, 방사성 물질에 대한 감시를 철저히 한다는 등의 안일한 대응만 되풀이하고 있는 한국 정부에 안타까움만 든다”고 말했다.

최경숙 시민방사능감시센터 활동가는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방류를 대응하기 위해선 ‘민관합동기구’를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경숙 활동가는 “오염수 방류를 위한 터널 건설 공사가 반발 속에서도 그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제는 ‘일본 정부에 항의하겠다’ 등 안일한 대처로는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방류를 막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방류로 가장 피해를 볼 어민들과 수산업 종사자들의 목소리가 정부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는 점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방류 문제를 통해 식탁의 불안을 느낄 시민들의 목소리가 전달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꼬집었다.
그러면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류를 대응하기 위해선 민관합동기구를 설치해야 한다. 그 안에는 당연히 어업종사자를 비롯해 수산업종사자, 시민단체 등이 포함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한 “좀 더 적극적으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방류 문제를 국제적으로 알리고 외교부를 통한 다각적인 압박을 시작해야 한다”며 “새 정부를 책임질 20대 대통령 대선 후보에게도 이 문제에 대해 강력한 해결책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