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8년 전 세월호가 고향 진도 앞바다에 침몰한 날. 젊은 날 겪은 ‘광주 5.18 민중항쟁’과 더불어 죽을 때까지 못 잊을 일. 벌써 8 주기라니….  

세월호 침몰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글 쓰는 사람으로서 꼭 해야 할 말이 무엇인지 생각했다. 소설집 ‘눈동자’는 그런 생각의 소산들이다. 세월호와 관련하여 내가 해야 할 말이었는지도 모른다…. ‘눈동자'에 수록한 소설들은 오로지 세월호 침몰 사건과 관련된 것들이다. 세월호 침몰 사건 이후 소설 청탁이 오면 세월호 이야기만 썼다. 다른 이야기는 써지지 않았다.

사진=박상률 작가
사진=박상률 작가

문재인 대통령 시절에 최소한 세월호와 가습기 살균제 문제는 정리될 줄 알았다. 그러나, ‘그러나’이다. 어이없는지고! 

지금 대한민국이 위태위태하다. 독일 태생 미국 철학자인 마르쿠제가 ‘희극으로 반복 되는 것이 원래 비극보다 훨씬 더 끔찍할 수 있다.’고 했는데 지금 희극이 벌어지고 있다. 앞으로  끔찍한 일이 얼마나 많이 벌어질는지….

신동엽 시인은 4월을 두고 ‘껍데기만 가라’고 하지 않았다. 아예 ‘사월은 갈아엎는 달’이라며 환골탈태를 부르짖었다. 몇 십 년 전의 시가 시대와 상황을 달리하여 지금도 현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건 불행한 일인지도 모른다.

(……)
아, 죄 없이 눈만 큰 어린것들

미치고 싶었다
4월이 오면
산천은 껍질을 찢고
속잎은 돋아나는데,
4월이 오면
내 가슴에도 속잎은 돋아나는데,
우리네 조국에도
어느 머언 심저, 분명
새로운 속잎은 돋아오고 있는데
미치고 싶었다
4월이 오면
곰나루서 피 터진 동학의 함성
광화문서 목 터진 4월의 승리여

강산을 덮어, 화창한
진달래는 피어나는데
출렁이는 네 가슴만 남겨놓고, 갈아엎었으면
이 균스러운 부패와 향락의 불야성 갈아엎었으면
갈아엎은 한강연안에다
보리를 뿌리면
비단처럼 물결칠, 아 푸른 보리밭

강산을 덮어 화창한 진달래는 피어나는데
그 날이 오기까지는, 4월은 갈아엎는 달
그 날이 오기까지는, 4월은 일어서는 달
                                       (‘사월은 갈아엎는 달’ 부분/신동엽)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