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사베이
픽사베이

 

[뉴스클레임]  일제의 노동 착취는 자기들이 ‘내지(內地)’라고 부른 일본 내에서 뿐 아니었다. 조선 내에서도 수탈을 일삼았다.

1920년대 후반, 일제는 ‘부전강댐’ 공사를 강행했다. 부전강은 압록강으로 흘러들어가는 지류다.

‘해발 5,000척(尺)’이나 되는 고원지대였다. 겨울에는 영하 35도의 혹한이 몰아치는 곳이었다. 당시의 콘크리트 공사는 시멘트 골재 혼합한 것을 등에 지고 올라가서 붓는 ‘전근대적인’ 방식이었다.

배고프고 힘들어서 발을 헛디뎌 아래로 떨어지면 그대로 콘크리트 속에 파묻혀야 했다. 많은 조선 노동자가 살아 있는 채로 매립되었다. “사람 몸뚱이로 댐을 구축했다”는 말이 나왔을 정도였다.

일제는 아예 ‘사망신고서’를 3만 장이나 준비하고 있었다. “이 정도만 있으면 공사를 끝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를 알아차린 조선 노동자들은 치를 떨어야 했다. 당시 사망자 수는 신문에 보도된 것만 합쳐도 4000명 넘었다. 부상자도 많았을 것이다.

그래도 임금만큼은 지급했다. 처음에는 하루 30전이었다. 그랬다가 40전, 50전으로 점점 올라갔다.

임금을 올린 이유는 간단했다. 너무 많은 노동자들이 죽는 바람에 조선 사람을 ‘모집’하는 게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그 임금마저 ‘수탈’ 당해야 했다. 밥값 하루 35전, 담뱃값 5전, 양말값 3전, 잡비 5전… 등을 제하면 남는 게 있을 수 없었다.

여기에다, 벌금, 세금, 강제저축 등의 명분으로 빼앗기는 돈도 적지 않았다. 그랬으니 형식적인 임금에 지나지 않았다. 이중, 삼중의 착취였다.

압록강의 또 다른 지류인 ‘장진강’에 댐을 쌓을 때는 수몰된 가옥이 ‘7000호’에 달했다. 6만 명 넘는 주민이 집과 땅을 잃어야 했다. 일제는 그 주민들을 강제 추방했다. 사후대책 따위는 생략했다.

흥남질소비료공장을 건설할 때는 노동자들에게 생필품을 ‘강매’했다. 가격이 일반 상점보다 당연히 비쌌다. 노동자들은 필요한 상품의 60%를 이곳에서 충당해야 했다.

이렇게 빼앗기다 보니, 임금은 남는 게 없었다. 노동자들은 임금 받는 날을 ‘걱정일’이라고 불렀다. 임금을 받는 지갑 아닌 주머니를 ‘걱정주머니’라고 했다.

일제는 이른바 ‘국가총동원법’이 공포된 1938년부터 1945년 광복 이전까지 조선의 6956개 장소에서 온갖 작업장을 운영했다. 그 기간 동안 강제 동원된 조선 사람이 '연인원' 648만8000명에 달했다. <본지 2022년 2월 4일자 ‘잡채기 칼럼’ 참조>

‘부전강 댐’ 공사처럼 총동원법 이전의 노동력 수탈까지 따지면, 더더욱 많을 것이다. 멀쩡한 집과 땅까지 수몰시킨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런데도 일본은 ‘극히 일부분’에 대한 배상마저 ‘오리발’이다. 배상은커녕 사과조차 외면하고 있다.

그 배상을 우리 기업이 맡을 것이라는 정부 발표다. 보도에 따르면, 재원은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에 따라 청구권자금 ‘수혜 기업’이 우선 출연하는 방향이라고 한다.

‘수혜(受惠)’는 ‘은혜를 입었다’는 뜻이다. 청구권자금을 받고 우리가 감지덕지라도 했다는 말인가.

 

주요기사

저작권자 © 뉴스클레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